다음달 14일 개관을 앞두고 있는 경기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통일촌 마을박물관에서 지난 10일 마을 주민이 전시실의 통일촌 모형을 보며 설명하고 있다. 파주/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탐방로 만들고 박물관 짓는 등
지자체·주민들, 관광사업 박차
지자체·주민들, 관광사업 박차
정전 60년 내내 남북이 맞닿은 인천·경기·강원의 접경지역 10개 시·군은 군사지역을 끼고 있는 탓에 군사시설보호구역법 등으로 건물 신증축, 대학·공장 유치 같은 개발행위가 제한돼왔다.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팎에서 이런 분단의 ‘굴레’에 갇혀 있던 전략촌 13곳의 주민 1339가구 3165명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생태환경을 보존하려는 시도가 최근 이어지고 있다. ‘평화’와 ‘생태’를 열쇳말 삼아 무겁고 뒤처진 듯한 최전방 마을 분위기를 전환하려는 취지에서다.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생창리는 1970년 제대군인 100가구를 모집해 민통선 안 전략촌으로 조성된 마을이다. 이후 민통선에서 해제됐으나 105가구가 농업에 의존하는 농촌 마을로 남아 있다.
이곳의 빼어난 생태환경과 접근성에 주목한 환경부가 ‘디엠제트 생태·평화공원’을 꾸미는 공사를 지난 2월 시작했다. 이정준 환경부 자연정책과 사무관은 “왕버들 군락 같은 생태자원, 백골 관측초소(OP) 등 안보적 자원도 풍부하다. 근처 비무장지대는 평야여서 접근하기도 쉽다”고 말했다. 비무장지대에 22㎞ 길이 생태탐방로 2개 코스를 만들고 500명이 묵을 수 있는 숙박시설, 방문자센터, 마을 특산품 직매장을 들여놓을 참이다. 정부가 58억원을, 강원도·철원군이 25억원을 투입한다.
박건휘 생창리 이장은 “전방에 있다는 이유로 농사에만 기대며 마을 발전에 어려움을 겪었다. 생태관광이 불러올 변화에 주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경기도에선 민통선 안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통일촌에서 비무장지대와 연계한 마을 만들기 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도와 파주시는 마을 전체를 생태박물관(에코뮤지엄)으로 조성해 마을 창설 40돌인 8월14일 개장할 계획이다. 마을 자유회관 2층 270㎡ 규모 마을박물관에는 마을에서 수거한 지뢰·포탄 등을 전시하며, 65살 이상 ‘장단 실버솔저대’ 31명이 마을 무기고·벙커·방공호 등 분단 현장을 안내한다. 이 사업을 총괄하는 경기문화재단의 김지욱 수석연구관은 “그동안 안보관광에 머물렀다면 이제는 ‘디엠제트에도 사람이 살고 있다’는 콘텐츠로 분단 흔적을 간직한 마을의 정체성을 브랜드화하려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연천군 민통선 안팎은 멸종위기 1급인 두루미가 수백마리씩 겨울을 나는 두루미 서식지로 이름이 높다. 임진강 상류의 여울과 먹이터인 논, 율무밭 등을 갖춘데다 인적마저 드문 영향이다. 경기도는 민통선 안 연천군 중면 횡산리와, 민통선 밖 전방지역인 중면 삼곶리, 군남면 옥계리, 왕징면 북삼리 등에 ‘임진강 두루미 마을’ 만들기를 구상중이다. 박은진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원은 “인간과 자연이 상생하는 발전모델을 찾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서부터 특산품 제조·가공, 관광·유통·판매·서비스까지 1~3차 산업을 포괄하는 생태관광마을이 그것”이라고 말했다. 김학용(60) 횡산리 이장은 “돈부터 붓기보다, 디엠제트와 민통선의 미래를 그리는 큰 밑그림부터 나왔으면 한다. 출입이 까다로운데 관광객이 오겠나”라고 말했다.
김재현 건국대 교수(녹지환경계획학)는 “천혜의 자연과 전쟁이 낳은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민통선 지역에선 보존이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다. 주민 공동체가 합의를 거쳐 지속가능한 모델을 찾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주 철원/박경만 박수혁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이 MB정부때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내용 끼워맞춰”
■ 와인 상자에 5만원권 지폐를 가득 담아…뇌물의 진화
■ 금연정책의 풍선효과?…삼삼오오 ‘흡연 투어’에 몸살 앓는 ‘공유지’
■ ‘로열 베이비’가 영국을 먹여 살린다고?…유력 경제지 FT “어리석은…”
■ [화보] “로열 베이비 나셨네”…영국 전역이 들썩
■ “국정원이 MB정부때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내용 끼워맞춰”
■ 와인 상자에 5만원권 지폐를 가득 담아…뇌물의 진화
■ 금연정책의 풍선효과?…삼삼오오 ‘흡연 투어’에 몸살 앓는 ‘공유지’
■ ‘로열 베이비’가 영국을 먹여 살린다고?…유력 경제지 FT “어리석은…”
■ [화보] “로열 베이비 나셨네”…영국 전역이 들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