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4단계 구상안 공개
강원도에 공동추진단 제안
강원도 “현실성 떨어진다”
강원도에 공동추진단 제안
강원도 “현실성 떨어진다”
경기도가 한강하구~파주~연천~철원~고성을 잇는 평화공원을 조성한 뒤 북한지역까지 확대하는 4단계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안을 내놨다. 경기도와 강원도가 평화공원 유치경쟁을 벌이는 모양새인데, 박근혜 정부가 남북관계를 제대로 풀지 못해 이 자체가 ‘공염불’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경기도는 13일 파주와 연천지역에서 잇따라 열린 ‘찾아가는 실·국장회의’에서 이런 구상을 밝히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강원도와 군,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추진단 구성을 제안했다.
준비단계인 1단계에서는 민·관·군 합동 추진단을 꾸려 지뢰 실태와 사유지, 생태계 상황 등을 조사하고, 2단계로 경기 파주시와 연천군이 제시한 곳에 소규모 평화공원을 조성하며, 3단계로 강원도 철원·고성까지 거점을 연결해 벨트를 구성한다는 구상이다.
파주시는 평화공원 후보지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장단면 동장리 일대를 꼽았다. 파주시는 북 사천강과 남쪽 남방한계선 사이 구릉지대 1.5㎢에 탐방로를 조성하고 평화 상징물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연천군은 태풍전망대 앞 임진강 유역의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중면 횡산리를 지목했다. 남북이 공유하는 임진강의 수자원을 함께 이용할 수 있어 평화공원으로 적격이라는 것이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이날 “철의 장막에서 생태역사관광지로 탈바꿈한 독일의 ‘그뤼네스 반트’ 사례에서 보듯, 디엠제트가 국제적인 관광지로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디엠제트 세계평화공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월 미국의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구상을 밝힌 뒤, 경기도와 강원도의 각 시·군에서 유치경쟁을 벌여왔다. 경기도는 강원도에 세계평화공원 공동추진을 제안할 계획이다.
강원도는 이미 고성군과 철원군이 세계평화공원을 각각 유치하겠다고 건의서를 제출하는 등 적극 나서고 있다. 강원도는 경기도의 ‘공동 추진 구상’에 대해 경계심을 감추지 않았다. 강원도 관계자는 “파주에서 고성까지 평화공원을 만들자는 경기도 방안은 비무장지대 전체를 공원으로 만들자는 얘기와 다를 바 없어 현실성이 떨어진다. 북한 쪽 입장이 중요한데 강원도와 경기도 여러 곳에 평화공원을 조성하자고 한다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경만 기자, 춘천/박수혁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의 실세 ‘무대’가 여의도에서 사라졌다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빼빼 마른 나, 왜 뚱뚱해 보일까?
■ [화보] 칠월칠석에 만난 황홀한 ‘별똥별 우주쇼’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의 실세 ‘무대’가 여의도에서 사라졌다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빼빼 마른 나, 왜 뚱뚱해 보일까?
■ [화보] 칠월칠석에 만난 황홀한 ‘별똥별 우주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