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성벽 구간만 출입금지 조처
시민단체들 “안전조처 소홀” 비판
시민단체들 “안전조처 소홀” 비판
지난 14일 성벽 일부가 무너진 충남 공주 공산성(사적 12호)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제기되는 성벽 구간에 시민들의 출입금지 조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공주시는 이달 28일부터 백제문화제 행사를 공산성 일대에서 치를 예정이어서 사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공주시는 2.5m 높이의 성벽 9m가 무너진 공산성 주변 성벽으로 향하는 금서루·공북루 옆에 각각 철제 파이프와 ‘공사중’ 표지를 세워 시민들의 출입을 막았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들의 조사 결과, 공산성에서 성벽이 뒤틀려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배부름 현상’이 40여곳에서 확인됐고 성벽 길이로는 500m에 이른다. 시에서 출입금지 조처를 하지 않은 공북루 옆 성벽 400m(지도) 구간은 금강과 맞닿아 있어 경사가 가파르고 성벽 위를 다닐 수 있는 길 곳곳에 콘크리트 포장이 갈라지거나 어른 주먹만한 틈이 벌어져 있다. 허재영 대전대 교수(토목공학)는 “성벽이 암반이 아닌 흙 위에 있고 정상 상태가 아니므로 위험지역으로 지정해 시민 출입을 막지 않으면 인명 피해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는 성벽이 무너진 14일에도 공산성 일대에서 수문병 교대식 행사를 열었다. 28일 열리는 백제문화제를 앞두고 공산성 성벽 복구공사를 서두르고 있다. 공주시 관광과 관계자는 “백제문화제 주행사장은 성벽과 떨어진 성 안쪽 공터여서, 이번 사고와 백제문화제는 관계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공주민주단체협의회와 공주생태시민연대는 이날 공산성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벽 복구 전 붕괴 원인 규명과 민관 합동조사 실시, 공산성에서 진행되는 모든 행사의 잠정 중단을 요구했다. 지역 환경단체들이 모인 ‘금강을 지키는 사람들’도 성명을 내어 “충남도가 이번 사고의 원인을 13~14일 내린 폭우로 보는 것은, 조사도 하지 않고 책임만 면하려는 행정이다. 중앙정부·자치단체·전문가·시민단체가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지반 함몰·변형에 대한 정밀조사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주/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