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2017년께 시범 운영 검토
2005년엔 비판 여론 거세 백지화
2005년엔 비판 여론 거세 백지화
강원도가 동해안 피서객 유치를 위해 ‘알몸 해변’ 카드를 다시 들고나왔다. 강원도는 2005년에도 알몸 해변 개장을 검토하다 비판 여론이 거세자 접은 적이 있다.
강원도는 22일 강릉시 주문진읍 환동해본부에서 열린 ‘2013 여름 해변 운영분석 및 결과보고회’에서 동해안 해변의 발전방안 가운데 하나로 알몸 해변 추진계획을 밝혔다.
강원도는 먼저 내년에는 동해안 6개 시·군을 대상으로 알몸 해변을 운영할 장소를 찾기로 했다. 올해 여름 전국 첫 애견해변을 연 강릉시가 찬반 논쟁으로 홍역을 치른 바 있어, 알몸 해변을 운영하겠다는 지방자치단체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 알몸 해변을 조성하기 위해선 외부의 무단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시설도 마련해야 한다. 2005년 당시에는 군당국과 협의를 거쳐 미개방된 군사보호구역 내에 알몸 해변을 개장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강원도는 이런 과정을 거쳐 2017년께 알몸 해변을 시범운영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알몸 해변이 개장하는 데는 난관도 만만찮다. 알몸 해변은 2000년부터 강원도뿐 아니라 다른 시·도에서도 도입을 검토했지만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으로 현실화되지 않았다.
김영철 강원도 환동해본부 해양관광담당은 “아직은 아이디어 차원에서 얘기가 나온 수준이다. 외국인을 먼저 출입시킨 뒤 점차 확대하는 등 알몸 해변을 운영하겠다는 지방자치단체가 있으면 같이 협의해 세부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릉/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