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의회 회견 열어 “일요일로”
상생협서 수요일 정하자 상인 반발
시 “이달안 재논의”…강릉도 논란
상생협서 수요일 정하자 상인 반발
시 “이달안 재논의”…강릉도 논란
강원도 18개 시·군이 대형 마트(12곳)와 기업형 슈퍼마켓(20곳) 등의 의무휴업 조례를 잇따라 제정하고 있는 가운데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할지 평일로 할지를 놓고 상인, 대형 마트, 자치단체 사이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강원 원주시의회는 22일 오후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상권을 살리고 지역 상인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 마트가 양보해야 한다. 원주시는 대형 마트 의무휴업일을 일요일로 지정하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4일 원주 지역 전통시장 대표와 대형 마트, 소상공인 등으로 구성된 원주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는 매월 둘째·넷째 수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정했다. 원주시가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이면 대형 마트(3곳)와 기업형 슈퍼마켓(6곳) 등은 평일 의무휴업을 할 수밖에 없어 상인 등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나복용 원주시의원은 “상생협의회에 참여하는 일부가 지역의 의견을 무시하고 무책임한 결정을 했다. 이 협약을 파기하고 협의회 위원들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원주 전통시장 상인들도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박이선 자유시장 번영회장은 “지역의 전통시장 8곳 대표들은 공휴일 휴무 쪽으로 뜻을 모았었다. 상생협의회장이 상인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개인 뜻으로 평일 휴무안을 인정해버렸다”고 말했다.
최용규 원주시청 유통소비담당은 “이달 안에 다시 상생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모은 뒤 휴무일을 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릉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 강릉은 매월 둘째·넷째 수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정했다. 강릉 지역 도소매업자들이 꾸린 ‘강릉시 대형마트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강릉시에 진정서를 내어 “강릉시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가 각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공평하게 위촉됐는지 의문이다. 대형 마트 매출이 가장 많은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춘천과 동해는 매월 둘째·넷째 일요일을 의무휴업일로 정했으며, 춘천 지역 대형 마트(4곳)와 기업형 슈퍼마켓(2곳) 등은 지난 13일 처음으로 의무휴업을 실시했다.
서상건 강원도상인연합회 총무이사는 “지역 상권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의무휴업일 법 제정 취지 자체가 공휴일을 의무휴업일로 하자는 것이다. 법 제정의 취지를 잘 살려 시·군 자치단체와 상인, 대형 마트 등이 올바른 판단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