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상수원보호구역에
횡성땅까지 지정해 대립 시작
수공 “정수장 증설” 협약 물꼬
횡성땅까지 지정해 대립 시작
수공 “정수장 증설” 협약 물꼬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둘러싼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의 26년 묵은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강원도·원주시·횡성군·한국수자원공사는 23일 오전 강원도청에서 ‘원주·횡성 지역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원주시와 횡성군의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둘러싼 갈등 해결의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웃하고 있는 원주와 횡성의 갈등은 1987년 원주가 횡성과의 경계 지역인 소초면 장양리 섬강에 취수장을 설치한 뒤 상수원보호구역 7.566㎢를 지정하면서 시작됐다. 상수원보호구역 전체 면적의 79.5%(6.017㎢)가 원주 땅이고 나머지 20.5%(1.549㎢)는 횡성 땅으로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 조처로 취수장 상류 10㎞에는 공장 설립 등 각종 개발행위가 제한돼 상류에 위치한 횡성 주민들 사이에선 ‘원주시민 물 먹이는 것 때문에 규제 속에 산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한영근 횡성군청 상수도담당은 “시내 중심인 횡성읍 전체가 취수장 상류 10㎞ 개발제한 규정에 묶여 아무런 개발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원주시가 취수장을 폐쇄하고 횡성댐에서 필요한 물을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원주시는 “2025년이면 인구 증가로 하루 23만t의 물이 필요한데 횡성댐에서 공급할 수 있는 물의 양은 하루 20만t에 불과해 장양리 취수장이 필요하다”고 벼텨왔다. 그러다 강원도의 중재로 수자원공사가 원주시에 필요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정수장 증설 등 필요한 조처를 취하기로 하면서 갈등 해결의 물꼬가 트였다.
하지만 원주시로선 추가로 부담해야 할 물값도 부담이다. 김인규 원주시청 수도담당은 “횡성댐에서 물을 끌어오면 장양리 취수장보다 1t당 78원 더 비싸 21% 정도의 물값 상승 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시민들이 내야 할 상수도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상생 차원에서 횡성댐 취수에는 합의했지만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