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의식 전주에 지원요구
시 “완주가 비용 분담해야”
시 “완주가 비용 분담해야”
전주-완주 통합에 반대했던 완주군의회 의원들이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원점으로 되돌아간 버스요금 체계에 대한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전주시는 전주-완주 통합을 위해 2009년부터 2차례에 걸쳐 완주군 전체 13개 읍·면에 대한 버스요금 단일화를 시행했다. 1차는 2009년 10월부터 삼례·봉동읍 등 7개 읍·면을 대상으로 시행했고, 2차는 올해 5월 고산·경천·동상·비봉·운주·화산면 등 6개면으로 확대했다. 시는 요금 단일화 손실보전금으로 연간 약 25억원씩 그동안 89억원을 부담했다.
전주-완주 통합은 지난 6월26일 진행된 주민투표로 무산됐다. 그러자 버스요금 단일화로 재정 압박을 받은 전주시는 9월29일, 2009년 요금단일화 이전 상태로 완전히 되돌렸다.
이에 따라 완주군 농민들의 교통비가 추가 부담이 되면서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 요금단일화 때는 1100원이면 해결되지만, 지금은 추가로 240~5310원을 내야 한다. 완주 북부지역 운주면 피목리의 경우, 요금이 6410원으로 단일화 중단 이후 5310원을 추가로 내고 있다. 하루 왕복 요금이 1만620원이나 되는 셈이다.
전북 완주군의회 의원 5명은 지난 4일 전주-완주 버스요금 단일화의 재개 방안을 찾기 위해 전주시의회를 방문해 간담회를 열었다. 군의원들은 버스요금 단일화를 다시 시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하지만 시의원들은 “전주시민 정서상 과거처럼 시예산을 투입할 수 없는 만큼, 완주군에서도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결론 없이 20여분 만에 간담회가 끝났다.
김종신 시 대중교통과장은 “통합이 무산된 뒤 지난 7월 의회에 6억1000만원을 추경예산으로 요구했으나, 의회에서 모두 삭감해 단일화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