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의회 200억 예산안 통과 통과시켜
“수해 증거인멸 위해 사업 앞당기는 것”
“수해 증거인멸 위해 사업 앞당기는 것”
강원 춘천시민들이 ‘춘천판 청계천 사업’으로 불리는 약사천 수변공원 조성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수해를 입은 주민들로 구성된 ‘효자동·운교동 수해원상복구 추진대책회의(대표 변인권)’는 21일 강원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해의 원인은 춘천시가 하수관거에 불법으로 설치한 송수관 때문이다. 춘천시는 핵심 증거인 하수관거와 송수관을 없애 하천으로 만들기 위해 미뤄왔던 수변공원 사업을 앞당겨 추진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책회의 소속 주민 홍재춘(53)씨도 “사업 예정지에 살고 있는 주민 상당수가 땅도 없이 남의 집에서 어렵게 살고 있다. 사업이 추진되면 주민들은 1000만~2000만원 정도의 보상비는 받겠지만 이 돈으로 어디가서 살 수 있겠냐”고 하소연했다.
변인권 대표는 “춘천시가 공사를 강행하면 증거인멸을 막기 위해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을 할 것이다. 수해 예방을 위해선 살고 있는 사람들을 쫓아낼 것이 아니라 수해원인으로 꼽히는 약사천 송수관을 하수관거에서 철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이 약사천 수변공원 조성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선 이유는 삭감됐던 관련 예산이 20일 열린 춘천시의회 본회의에서 다시 살아났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수해가 발생하자 춘천시는 복구를 위해 약사천 복원 사업비 명목으로 국비 100억원과 시비 100억원 등 200억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시의회는 시비 100억원을 전액 삭감했고 춘천시는 또다시 관련 예산안을 상정했다. 춘천시의회는 본회의에서 표 대결까지 해 11대10으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박동춘 춘천시청 도시재생과 주무관은 “수해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복구하기 위해 수변공원 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논란이 된 하수관거와 송수관 일부는 없어지겠지만 설계도면과 사진자료 등은 남아있기 때문에 증거를 없애려고 사업을 추진한다는 주장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