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위 8 대 1로 폐지 의결
야권 “소수 정치세력 진출 막아” 반발
시 간부직원 표결개입 의혹 주장도
내년 2월 시의회 심의서 확정 예정
야권 “소수 정치세력 진출 막아” 반발
시 간부직원 표결개입 의혹 주장도
내년 2월 시의회 심의서 확정 예정
대구 지역 기초의원 4인 선거구가 사라질 형편에 놓였다. 야권과 시민사회단체들은 “대구시의 개입으로 4인 선거구가 사라져 소수 정치세력이 기초의회에 진출할 길이 막혔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달 29일 오전 10시에 열린 대구 지역 기초의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달 29일 오전 10시 전체 위원 11명 가운데 9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회의를 열어 4인 선거구 폐지 여부를 표결해 폐지 8명, 유지 1명으로 4인 선거구를 없애기로 의결했다.
그러나 민주당·정의당 대구시당 등 대구 지역 야권과 대구참여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2일 대구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친새누리당 성향이 강한 지역 특성 때문에 4인 선거구가 없어지면 야당 등 소수 정치세력이 기초의회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막히게 된다. 위원회를 재구성해 선거구 획정을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선거구획정위가 4인 선거구 11곳을 유지하기로 했던 불과 한달 전 결정을 번복한 이유가 명쾌하지 않다. 4인 선거구를 폐지하는 데 대구시 간부 직원들이 개입한 의혹이 일고 있다. 의혹이 사실이라면 부당한 정치개입에 대해 김범일 대구시장이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일부 선거구획정위원들은 “대구시 간부 직원들이 위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4인 선거구 폐지에 동의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털어놨다. 한 선거구획정위원은 “대구시 간부가 ‘서울 등 대도시에는 4인 선거구가 없다. 어차피 대구시의회에 넘어가면 4인 선거구가 폐지된다. 시의회에서 압박이 심하다. 협조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명환 선거구획정위원장(계명대 교수)은 “4인 선거구 폐지 방안은 표결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폐지됐다. 대구시 간부 직원들이 위원들을 일일이 접촉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선거구획정위 간사인 황종길 대구시 자치행정과장은 “선거구획정위원들을 만난 것은 사실이지만 회의 서류가 많아 설명하기 위해 찾아갔을 뿐이다. 4인 선거구를 폐지해달라는 말은 결코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선거구획정위원회는 4인 선거구를 없애는 대신 2인 선거구를 27곳으로 늘리고, 3인 선거구 16곳을 유지하는 내용의 의결 사항을 5일께 대구시의회에 넘길 예정이다. 대구시의회는 내년 2월 이를 표결로 결정하는데 과반수가 찬성하면 가결된다. 대구시의회의 심의 과정에서 4인 선거구가 부활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현재 대구 지역 8개 기초의회 전체 기초의원 115명은 새누리당 100명, 야당 10명, 무소속 5명으로 이뤄져 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