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4억들여 설치 한달만에
중계감시기 등 고장 나 오작동
준공검사때 허위 서류작성 들통
감사원, 상주시에 “주의” 통보
중계감시기 등 고장 나 오작동
준공검사때 허위 서류작성 들통
감사원, 상주시에 “주의” 통보
경북 상주시가 4억여원을 들여 도입한 ‘가로등 원격제어 감시시스템’이 설치 한달 만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각종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상주시는 허위 현장조사 서류를 만들어 준공검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4일 <한겨레>가 입수한 감사원의 ‘상주시의 가로등 원격제어 감시시스템 준공검사 등 관련 감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상주시는 2011년부터 4억335만원을 들여 가로등을 한곳에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 도입을 추진했다. 시청에서 컴퓨터로 가로등의 점등·소등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고, 원격으로 가로등을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체계로 가로등 유지·관리에 효율적이고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됐다.
이에 따라 상주시는 사업자를 선정해 지난해 1월4일~2월17일 양방향 중계감시기 57대와 등주감시기 1264대를 가로등에 설치했다. 설치를 끝낸 지난해 2월17일에는 준공검사까지 마쳤다.
그런데 준공검사가 끝나고 한달이 채 지나지 않아 양방향 중계감시기와 등주감시기가 고장을 일으키면서 가로등 점등·소등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상주시는 올해 10월까지도 고장 원인은 물론 고장난 감시기의 대수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감사원에 적발됐다.
특히 상주시는 준공검사를 할 때 양방향 중계감시기와 등주감시기를 모두 조사한 것처럼 서류를 작성했지만 실제 현장조사를 한 것은 등주감시기 32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 10월10일부터 닷새 동안 직원 5명을 상주로 파견해 현장조사를 벌였고 지난달 18일 감사 결과를 최종 확정했다. 감사원은 지난달 상주시에 “준공검사를 실시할 경우 시방서와 다르게 검사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관련자들에게 주의를 촉구해 달라”며 감사 결과를 통보했다.
이에 대해 상주시 쪽은 “막상 도입하고 보니 우리나라 기술이 아직 완벽한 것이 아니었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고장 원인을 파악하고 보수에 들어가는 등 조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