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소열(앞줄 왼쪽 둘째) 서천군수와 참석자들이 10일 충남 서천군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금강은 흘러야 한다’는 손팻말을 들고 정부에 금강하굿둑 바닷물 유통을 촉구하고 있다. 충남 서천군 제공
추진단, 서명부 정부에 전달 예정
군산은 농업용수 오염 이유로 반대
군산은 농업용수 오염 이유로 반대
충남도민 15만여명이 금강하굿둑의 부분 개방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해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주민들이 모인 금강해수유통추진단은 10일 충남 서천군청에서 성명서를 내어 “15개 시·군 주민 15만6000여명이 서명한 금강하굿둑의 바닷물 유통을 촉구하는 서명부를 12일 국무조정실과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무분별한 개발과 국책시설 난립으로 금강하구는 심각한 몸살을 앓고 있다. 금강하굿둑의 바닷물 유통이 관철될 때까지 투쟁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금강해수유통추진단은 정부에 금강하구호 농업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바닷물 부분유통 방안 적극 검토, 하구역 생태계 조사·연구와 환경 복원 대책 수립, 국무조정실 책임 아래 금강하구 관리체계 마련, 낙동강·금강·영산강 하구에 대한 하구관리법 마련 및 협의체 운영 등 4개항을 정부에 요구할 참이다. 홍남표 금강해수유통추진단 상임대표는 “정부는 농·공업용수 확보와 비용 문제를 들어 바닷물 유통을 방관해왔지만 이제는 대승적 차원의 해결이 필요하다. 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바닷물 부분유통만이 금강하구의 생태계 복원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나소열 서천군수는 지난 10월부터 충남 14개 시·군을 다니며 금강하구에 바닷물이 드나들도록 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점을 알려왔다. 또 10월21~23일 나 군수와 지역 주민 270여명은 서천 조류생태전시관에서 부여 백제보까지 67㎞ 도보순례를 벌여 도민들에게 관심을 부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서천군과 금강하굿둑을 맞대고 있는 전북 군산시는 하굿둑 개방 때 염분이 섞여 농·공업용수 사용이 불가능하고 하굿둑 인근 정수장·취수장을 옮기는 데 1600억원이 든다는 등의 이유로 반대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전진식 박임근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