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국제행사 유치에 도움”
부산시가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다.
부산시는 16일 “전세계 200만명 이상이 사는 도시 가운데 처음으로 세계보건기구로부터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국제안전도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와 신체·정신적 손상으로부터 안전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 지역사회안전협력증진센터(WHO CCCSP)가 서류평가와 현장조사를 거쳐 공인한다.
시는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기 위해 2009년부터 차곡차곡 준비했다. 그해 지역사회 안전도 진단을 통해 사고로 인한 신체·정신적 손상률을 조사했다. 허남식 시장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공약으로 내걸며 힘을 실었다. 또 시는 16개 구·군과 부산지방경찰청, 부산시교육청 등 지역 170여개 주요 기관·단체와 함께 국제안전도시 인증 필수조건인 국제안전도시 네트워크 구축 사업, 국제안전도시 역량강화 사업, 부산시 손상지표 산출 사업 등과 관련해 306가지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조성호 시 안전행정국장은 “인구 10만명당 사고사망률이 국제안전도시를 추진하기 시작한 2009년 63명에서 2011년 60.7명으로 감소했다. 국제안전도시로 인증받으면서 도시 이미지 향상과 외국기업 및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 창원시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다. 창원시는 2010년 8월부터 사고·손상으로 시민이 다치거나 숨지는 것을 막기 위해 8개 분야 136개 시민안전 증진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7월에는 안전도시 조례도 만들었다.
지금까지 세계 33개국 317곳이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고, 한국에선 수원·천안·원주시 등 7개 도시가 포함됐었는데 이번에 강원도 삼척시 등 3곳이 추가로 공인받음에 따라 한국은 10개 도시로 늘어났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