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회견 열어 인권침해 비판
전 원장 고발 복지사 6명 불이익
전 원장 고발 복지사 6명 불이익
전북의 한 사회복지법인 장애인복지시설 전직 원장이 원생들을 수년간 성폭행했다는 의혹으로 수사를 받으면서 내부고발자들한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 60여개 단체가 참여한 ‘장애인 성폭력 사건 해결 대책위’는 15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년간 전북의 한 장애인복지시설의 원생들을 성폭행한 전 원장 ㅈ(46)씨에 대한 내부고발자들이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장애인 성폭력 사건이 외부로 알려져 후원금과 보조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이유로 재단에서 내부고발자들에게 업무를 주지 않는 등 노동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부고발자들은 원래 사회복지사 등 9명이었으나 지금은 6명이다.
이들은 특히 “피해자인 장애인 여성에게 접근해 사건과 관련한 사실을 묻거나 현재 만나고 있는 사람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등 상식에서 벗어난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피해자의 집 주소가 유출돼 가해자 쪽에서 피해자 집을 방문하는 일까지 발생해 피해 여성들이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단 쪽은 “해당 직원들을 업무에서 배제시키는 일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성폭행 의혹을 받는 피의자 중에서 한 사람이 전문기관에 의뢰해 자신의 억울함을 조사해 달라고 부탁하는 바람에 피해 여성과 접근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들었다”고 해명했다.
이 사건은 2012년 7월 사회복지법인 내부고발자에 의해 경찰에 고발됐다. 지난해 11월 ㅈ씨 등 2명이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전주지검으로 송치돼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전직 원장 ㅈ씨는 이 재단 설립자의 친인척으로 이 시설에서 일하는 어머니와 함께 고교 때부터 복지시설에서 피해 장애인들과 함께 생활해왔다. ㅈ씨가 수년간 성폭행을 해왔다는 주장은 ‘도가니 사건’ 이후 전국적으로 시행된 ‘장애인 생활시설 인권실태 조사’에서 피해자들의 진술을 통해 제기됐다.
사건 당시인 1990~2000년대 17~25살이었던 피해 여성들은 지적장애 2~3급으로 알려졌다. 피해 여성 9명은 지금 이 재단과 격리돼 다른 기관에서 보호받고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