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7일 전라감영 복원을 위한 옛 전북도청사 철거에 반대하며 이틀간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김 후보는 이날 “지금의 옛 도청사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근현대를 지켜온 역사의 현장”이라며 전면 철거 중단과 전라감영 복원계획 재검토를 주장했다.
그는 “옛 도청사는 한번 철거되면 결코 되돌릴 수 없는 호남 행정의 상징이자 문화유산인데도, 전라감영의 복원 수위와 이용 방안, 시민 생활·경제에 미칠 영향 등 어떠한 정보 제공과 시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전주시가 밝힌 복원사업비 473억원 중에서 관찰사 집무실인 선화당 복원 비용이 50억 안팎인 반면에 400억원이 용도와 운영 방안도 알 수 없는 신규 문화시설 공사비로 책정돼 있다”며 “시는 한국전통문화의전당과 국립무형유산원 등 대형시설을 건립해 놓고도 제대로 운영 방안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와 비슷한 대규모 문화시설 신축에 매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전북도는 2005년 6월까지 전주시 중앙동 옛 전북도청사를 사용했다. 도는 2000년 옛 전북도청사 터 1만6117㎡를 전라감영지 기념물로 지정한 뒤, 시굴조사(2005년)와 발굴조사(2006~2007년) 등을 진행했다.
2009년 꾸려진 ‘전라감영복원 통합추진위원회’는 19차례 논의 끝에 전라감영의 핵심시설에 한정하는 부분 복원을 확정했다.
옛 도청사에는 현재 10개 단체가 입주해 있으며 본관동·의회동을 5월에 철거할 예정이다. 철거 비용 11억원은 전북도와 전주시가 절반씩 부담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