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강원발전연 위원
강원지역 4개 유형으로 나눠
“실업률·고령화 등 특징 반영”
강원지역 4개 유형으로 나눠
“실업률·고령화 등 특징 반영”
지방정부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역 생활형 복지를 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승희 강원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이 1일 ‘주민생활지표와 강원도 지역별 복지’ 정책메모를 내어 “그동안 포괄적이냐 선별적이냐의 개념으로만 복지 문제에 접근했는데, 이젠 지역성이 포함된 ‘지역 생활형 복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역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인구·건강·안전·가족구성·소득 등 18개 지표를 분석해 강원지역 18개 시·군을 4개 유형별로 구분했다. 1유형(춘천·원주·강릉·속초·삼척)은 실업률·1인가구·한부모가구·조손가구 비율이 높은 만큼 자립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2유형(횡성·정선·고성)은 고령화·사망률이 높고, 낮은 건강검진율, 외국인주민 증가 등의 특징이 있어 의료·재활 기능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살·이혼율과 저소득층 비율이 높은 3유형(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양양)은 건강가족지원센터 기능 강화 등 공동체 및 가족 역량을 강화하고, 4유형(동해·태백·영월·평창)은 건강관리와 정신건강 취약 지역으로 공공의료 기능을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