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전국서 첫 조례 제정 추진
도, ‘빅파이 프로젝트’ 본격 추진
도, ‘빅파이 프로젝트’ 본격 추진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빅데이터’를 4대 정책기조의 하나로 제시한 가운데, 경기도의회가 전국 처음으로 ‘빅데이터 활용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나섰다. 빅데이터(Big date)란 수치·문자·영상 등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대규모 데이터 집합체로, 선진국에서는 정책 개발과 산업 육성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김영환 의원(새정치민주연합·고양7) 등 11명이 발의한 ‘경기도 통계 작성·보급·이용 및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조례안’을 심의한다고 8일 밝혔다. 조례안은 도지사가 통계 및 빅데이터 사무의 효율적 관리 등을 위해 통계사무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김 의원은 “경기도에는 빅데이터라 부를 만한 대량의 데이터나 통계 관련 시스템, 정보 통로 등이 갖춰져 있지 않지만 미래에 대비해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 지자체 특성에 맞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해가면 나중에 빅데이터가 돼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남 지사는 지난 2일 “데이터를 분석해 도민에게 건강, 안전, 기상 등 유용한 생활정보를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선거공약으로 경기도와 31개 시·군, 26개 산하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통합해 도민에게 맞춤형 정보를 무료 제공하는 ‘빅파이(Big-Fi: Big-data, Free-information) 프로젝트’를 내놓은 바 있다.
빅파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도지사 직속으로 구성된 ‘빅파이 미래전략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었다. 민관 전문가 22명이 참여해 빅데이터에 근거한 도정 현안 해결, 전문 인력 양성과 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도민 안전정책 수립 등을 논의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정책 개발과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모델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전문 컨설팅을 받기 어려운 소상공인이나 예비창업자들도 유동인구, 소비패턴, 인근 상권 정보 등을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