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사회·종교단체 대책위 꾸려
거곡·마정지구 준설 중단 촉구
“4대강 실패에 버금가는 사업”
거곡·마정지구 준설 중단 촉구
“4대강 실패에 버금가는 사업”
정부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일대의 홍수 예방을 위해 임진강 거곡·마정지구에 대한 준설을 추진하자 파주 시민들이 ‘임진강 지키기 파주시민대책위원회’를 꾸려 본격적인 저지 운동에 나섰다.
파주 시민 30여명은 15일 오전 파주시청 앞에서 시민대책위 발족 기자회견을 열어 “농어민 의견을 무시한 임진강 거곡·마정지구 하천정비 사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대책위에는 디엠제트(DMZ)생태연구소, 파주시친환경농업인연합회 등 17개 시민사회단체와 천주교·원불교·성공회 등 종교계, 진보 정당, 시민들이 참여했다. 조영권 파주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과 천호균 논밭예술학교 대표가 상임 공동대표를 맡았다.
이들은 “정부가 4대강 사업에 실패하고 그 부담을 온전히 국민의 혈세로 쏟아붓고 있으면서 또다시 4대강 사업에 버금가는 사업을 진행하려 하고 있다. 농어민과 생명을 죽이고, 임진강의 평화를 깨는 준설 사업 대신 강과 농민, 문산을 모두 살릴 대책을 다시 세우라”고 요구했다.
시민대책위는 이어 사업시행자인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을 방문해 임진강 하천정비 사업 환경영향평가 공청회를 속개하기 전에 친환경급식 생산지 파괴, 농어민 피해 대책, 예산 낭비 및 홍수 우려 증가 등 핵심 쟁점에 대한 답변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지난달 11일 문산행복센터에서 열린 공청회는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데 따른 농민들의 항의로 정회된 상태다.(<한겨레> 6월12일치 16면 참조)
노현기 시민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친환경 쌀과 농어민 피해 대책이 없고 홍수 위험은 오히려 커진다는 전문가 진단까지 나왔는데도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 어느 것 하나 속 시원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이해관계 당사자의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은 임진강 준설 사업은 원천무효”라고 말했다. 시민대책위는 지난달 11일부터 실시한 ‘임진강 습지보호구역 지정 촉구 파주 시민 1만명 서명’ 명부를 다음주께 환경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