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장 초청 간담회 열려
주차·소음·냄새 등 고충 호소
주차장 조성·세제 혜택 등 요구
주차·소음·냄새 등 고충 호소
주차장 조성·세제 혜택 등 요구
전북 전주 한옥마을은 전주의 대표적 관광자원이다. 전주시 풍남동·교동 29만8260㎡ 일대엔 한옥 700여채가 있다. 2010년에 ‘슬로시티’로 지정됐고, 2015년에 재인증을 앞두고 있다. 전주시가 지난해 말 조사한 한옥마을 일대 상업시설은 366곳이다. 슬로시티로 지정될 당시 100곳보다 3배 이상이 더 늘어난 셈이다. 시는 한옥마을 정체성 확보와 상업기능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해 11월 한옥 층수를 제한하는 등의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했다. 한옥마을 연간 관광객은 2002년 31만명이었으나, 2010년엔 300만명을 넘어섰고, 지난해에는 508만명이 다녀갔다.
전주 한옥마을에 관광객이 몰리고 있으나, 정작 한옥마을에 사는 주민들은 주차·소음·냄새 문제 등으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 21일 전주시 풍남동 한옥마을 최명희문학관에서 열린 ‘전주 한옥마을 발전을 위한 전주시장 초청 간담회’에서 주민들은 한옥마을 발전 방안과 함께 그동안 쌓였던 각종 생활 불편을 쏟아냈다. 한 주민은 “주말이면 붐비는 관광객들 때문에 내 집에도 마음대로 들어가지 못할 정도이고, 빼곡하게 들어선 외부 차량들로 인해 주차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주민은 “한옥마을 안 음식점에서 풍기는 냄새와 민박 관광객의 소음 등으로 밤잠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한옥마을 거주민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전주 한옥마을보존협의회 이세중 고문은 “한옥마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거주민들의 행복도가 높아야 하는데, 지금은 거주민들의 행복도가 낮다. 실제 살지 않는 외지인들은 늘어나고 실제 사는 거주민 인구는 줄어들어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전주시는 지난해 말 한옥마을 거주민은 729가구, 1534명인 것으로 파악했으나, 올해는 인구가 더욱 줄어 1300명선을 유지하기도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옥마을사업소 박화성 소장은 “전주 한옥마을은 서울 북촌 및 안동 하회마을 등과 달리, 옛 도심에 자연발생적으로 생겨 주민과 상가가 공존하는 특수성이 있다”며 “이 때문에 한옥 거주민들이 주차·소음·냄새 등으로 고통스러워하고 있으며, 점차 한옥을 팔고 빠져나가는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한옥마을과 가까운 전주천변에 주차장 조성 △저렴한 주차정액권 발급 △쓰레기통·공중화장실 설치 확대 △무별한 음식점 규제 △거주민을 위한 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전주시에 요구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주민·전주시민·관광객 등의 의견을 수렴해 장기적 발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