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물 보호센터’에서 관리되고 있는 개와 고양이들. 윤형중 기자 hjyoon@hani.co.kr
지난달 동해안 100마리쯤 버려져
지자체, 유기동물 처리에 골머리
새 주인 못만난 노견 안락사 수순
지자체, 유기동물 처리에 골머리
새 주인 못만난 노견 안락사 수순
피서철을 맞아 동해안 주요 관광지마다 버려지는 개·고양이 등 애완동물이 급증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망상해변 등으로 유명한 강원 동해시는 지난 한달간 42마리의 유기 동물이 포획됐다고 12일 밝혔다. 본격적인 피서 전인 6월(14마리)보다 3배 늘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포획된 유기 동물(123마리)의 3분의 1 정도가 해변이 개장된 7월 한달 만에 잡힌 셈이다.
경포해변이 있는 강릉은 지난달 유기 동물 56마리가 잡히는 등 올들어 314마리가 포획돼 지난 한해 수치(348마리)에 육박하고 있다.
해변을 낀 지방자치단체들은 유기 동물 처리 예산과 관리 인력 확보 등에 애를 먹고 있다. 주민 신고 등으로 보호소로 옮겨진 유기 동물은 발견 당시 특징 등을 토대로 ‘동물 보호관리 시스템’(animal.go.kr)에 등록되고, 10일 동안 주인을 찾는 공고 과정을 거친다. 주인이 나서지 않으면 다른 주인을 찾지만 버려진 동물 대부분 나이가 많거나 피부병 등 질병을 앓고 있어 새 주인을 만나기도 쉽지 않다.
새 주인을 만나지 못한 동물들은 보호소에서 머물다 공간이 부족하면 결국 안락사 처리 수순을 밟게 된다. 강릉시는 지난해 39마리를 안락사시켰다. 강릉 7700만원과 동해 6000만원 등 동해안 시·군은 보호시설 운영비와 안락사 약물값, 사료값 등으로 해마다 수천만원을 쓰고 있다.
김영호 동해시 농업기술센터 주무관은 “시에서 보호해야 할 유기동물이 점차 늘어 걱정이다. 반려동물 등록제가 시행됐지만 내장형 칩이 의무가 아니다 보니 인식표나 태그를 떼어낸 뒤 버리면 주인을 찾아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