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총장선출 두고 이견
17일 후보 2명 공개토론회
간선제 주장 대학본부 “위법”
17일 후보 2명 공개토론회
간선제 주장 대학본부 “위법”
총장 선거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이는 전북대 대학본부와 교수회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전북대 교수회는 예정대로 오는 25일 직선제 투표를 강행하겠다고 16일 밝혔다. 28명으로 총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후보자 등록을 진행해 김관우(독어독문과), 양오봉(화학공학부) 교수 등 2명이 후보로 등록했다. 17일 합동연설회와 공개토론회를 거쳐 25일 오후 3시부터 8시까지 학술문화관에서 후보자 소견발표와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간선제 방식을 고수하는 대학본부는 지난 3일 간선제 선거를 총괄하는 ‘총장선정관리위원회’를 출범하고 선거 일정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위원회는 직선제 선거 일정과 관계없이 23일께 구체적인 일정을 발표하고서 다음달 후보 등록 및 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간선제 후보 예정자가 9명인 것과 달리, 직선제 입후보자는 단 2명에 불과해 직선제 당선자가 대표성과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동근 홍보부처장은 “교수회가 추진하는 직선제가 ‘총장 직선제를 국가선관위가 관리한다’는 현행 법규와 간선제를 규정한 학칙을 위배해 교육부에서 당선자를 임용해주지도 않을 것이다. 이런 의미없는 절차를 왜 밟아야 하는지 모르겠다. 게다가 직선제 선거 인명부가 1000명가량 되는데 과연 얼마나 투표할지 의문이어서 대표성을 확보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왕휴 교수회장은 “투표율이 얼마 나올지는 아직 모른다. 투표율에 관계없이 1순위와 2순위를 정한 뒤 이후 절차를 다시 논의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대는 2012년 7월 교수 총투표 결과 53.4%가 직선제 폐지에 찬성했다. 그해 8월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모제(간선제)로 학칙을 바꿨다. 올해 1월 개정한 선출규정을 근거로, 교육부에 총장임용추천위원 48명(외부 인사 12명, 학내 구성원 36명)을 무작위로 추첨하는 간선제 방식의 총장 선출 계획을 지난 3월 제출했다.
전북대 교수회는 총장 선출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내 구성원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학칙 개정 무효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