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거비·복원비 73억 예상
복원위 구성해 논의키로
옛 도청사 기릴 방안도 추진
복원위 구성해 논의키로
옛 도청사 기릴 방안도 추진
전북 전주시는 전라감영 복원의 핵심인 옛 전북도청사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2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화재의 복원은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로써 옛 전북도청사 건물을 철거하고 전라감영 복원을 추진하겠다”며 “전라감영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 자존감을 회복해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전주의 옛 영광도 복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2005년 전북도와 전주시가 복원추진단을 구성하면서 닻을 올린 전라감영 복원사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시는 내년에 건물을 철거하고, 2016년부터 복원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일단 철거비 19억원과 관찰사가 업무를 봤던 선화당 등 부속건물 복원비 54억원 등 모두 73억원의 사업비를 예상하고 있다. 김 시장은 이날 “복원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했던 이유는 역사라는 것이 그만큼 엄중하기 때문이다. 건축물은 한번 철거하면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만큼 후회 없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시간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철거 과정에서 단순히 건물을 허무는 차원이 아니라, 옛 도청사에 담긴 기록과 기억, 시민들의 애환과 추억을 기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특히 복원하는 전라감영에 시민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도록 ‘전라감영 재창조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설계 단계부터 다양한 콘텐츠 발굴과 복원 방법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라감영 복원에 필요한 문화시설을 설치하는 데 400억원이 추가로 필요해 재원 마련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전라감영은 조선 초기 전주에 설치돼 1896년까지 관찰사가 거주하며 전라남·북도와 제주도를 관할한 관청이다. 이후 이 자리에는 1930년대와 1950년대 2개의 건물이 건립돼 전북도청과 도의회 청사로 활용됐으나 이들 기관이 2005년 전주 서부신시가지로 이전했다.
전라감영 복원 문제는 이들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완전히 복원해야 한다는 의견과, 근현대사의 상징적인 건물들을 철거하는 대신 재활용하고 전라감영 일부만 복원하자는 주장이 맞서면서 그동안 논란을 빚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