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의회도 원전 반대에 나섰다. 다음달 9일 삼척 원전 찬반 주민투표를 앞두고 원전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동해시의회는 29일 성명을 내어 “동해시와 삼척의 원전 터는 불과 20여㎞에 불과하다. 재난이 발생하면 60㎞는 초토화되는 원전 유치 문제는 동해시와도 밀접한 이해관계가 있다. 원전은 단기적으론 지역경제 활성화란 기대를 갖게 하지만, 장기적으론 울진 등의 사례에서 보듯 오히려 상반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삼척시의 원전 반대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지역 사회단체인 동해시지역발전협의회도 최근 정부에 원전 건설 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으며, 지난해에는 삼척 원전 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동해시민 1만2000여명의 서명을 받은 건의문을 청와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제출한 바 있다.
김혜숙 동해시의장은 “원전 유치 과정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직접 확인하는 주민투표를 의무화해야 할 뿐 아니라 인근 주민들의 여론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 삼척시의 주민투표 결과와 상관없이 원전 건설은 강원 남부권 주민들의 생존권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강력한 반대 활동을 펴겠다”고 말했다.
앞선 지난 25일에는 반핵을 으뜸 공약으로 내세운 김양호 삼척시장(무소속)뿐 아니라 최문순 강원지사(새정치민주연합), 이이재(동해·삼척, 새누리당) 국회의원 등이 정파를 떠나 원전 반대 한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삼척원전 주민투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과 직결된 중대한 문제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자기책임성을 묻는 지방자치와 민주주의의 본령이다. 정부는 삼척원전 유치신청 철회에 관한 주민투표 결과를 존중하고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삼척지역 원전 유치 찬반 의사를 직접 묻는 첫 주민투표는 다음달 9일 오전 6시부터 저녁 8시까지 실시된다. 주민투표 하루 전인 10월8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거주지 읍·면·동사무소에서 사전투표도 할 수 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