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원전 건설 예정지로 지정된 강원 삼척에서 9일 전국 첫 원전 유치 찬반 주민투표가 실시되는 가운데 6일 삼척 시내 곳곳에 주민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펼침막이 걸려 있다. 삼척시 제공
9일 전국 첫 원전유치 찬반투표
선관위 거부로 민간 주도
개인정보 제공해야 투표 가능
3만8799명이 동의
6·4지방선거 투표율 69% 육박
관리위 “최소 50%” 기대하지만
‘낙관론 팽배’가 변수 될 수도
선관위 거부로 민간 주도
개인정보 제공해야 투표 가능
3만8799명이 동의
6·4지방선거 투표율 69% 육박
관리위 “최소 50%” 기대하지만
‘낙관론 팽배’가 변수 될 수도
오는 9일 강원 삼척에서 실시될 전국 첫 원전 유치 찬반 주민투표의 투표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주민투표관리위원회와 원전 반대 단체들은 투표율을 높이려고 차량 방송을 통해 투표 홍보에 나서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삼척 원전 유치 찬반 주민투표관리위원회는 5일까지 주민투표를 위해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주민이 3만8799명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삼척 원전 주민투표는 지난달 삼척시 선거관리위원회가 ‘원전 유치 신청 철회는 국가사무로 주민투표 대상이 아니다’라는 정부의 유권해석에 따라 주민투표 업무 위탁을 거부해 민간기구 주도로 실시되며, 개별적으로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해야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주민의 수가 유권자 수가 되는 셈이다.
주민투표관리위원회는 아직까지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내지 않은 주민도 투표 당일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내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최종 유권자 수는 선거 당일까지도 유동적이다. 지난 6·4 지방선거 때 유권자 수는 6만1597명으로, 4만2406명(68.8%)이 투표에 참여했다.
주민투표관리위원회는 주소지는 삼척이지만 다른 지역에 거주해 개인정보 동의서를 받지 못하는 군인과 대학생, 거소불명자, 주민투표 반대 주민 등을 빼면 최종 유권자 수는 4만명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민투표 결과는 유권자 수 3분의 1 이상의 투표와 유효투표 수 과반수의 득표로 확정된다. 최종 유권자 수를 4만명으로 가정하면, 1만3320명(33.3%) 이상이 투표권을 행사해야 주민투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주민투표관리위원회와 삼척 원전 백지화 범시민연대는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제출한 주민을 적극적인 투표 참여층으로 간주하고 투표율이 최소 50% 이상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징검다리 연휴와 원전 찬반 주민투표에 대한 낙관론 등으로 투표율이 예상치를 밑돌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2년 10월31일 원전 유치를 강행한 당시 삼척시장에 대한 주민소환 투표가 실시됐지만, 선거인 수 6만705명 가운데 1만5698명(25.9%)만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 미달로 투표함을 열지도 못한 사례도 있다.
최승철 삼척 원전 백지화 범시민연대 본부장은 “지난 시장선거 때는 반핵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앞장서던 사람들도 지금은 사태를 낙관하는지 안도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실제로 얼마나 투표로 연결될지는 미지수인 만큼 방송차량을 이용한 거리홍보전 등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