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북 등 지자체 유치전
2050년 세계시장 규모 1000조원
미래부, 공모 통해 내년 입지결정
2050년 세계시장 규모 1000조원
미래부, 공모 통해 내년 입지결정
부산·울산·경북 등 영남지역 자방자치단체들이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울산시는 6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울산시, 울주군,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대), 울산대,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 울산테크노파크, 현대중공업, ㈜포뉴텍 등 8개 기관이 참여하는 ‘원자력 해체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협약식을 열었다. 부산시와 기장군도 지난달 26일 지역 국회의원과 시·군의회 의원, 민간단체, 원전 폐로 전문가 등 42명으로 꾸려진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범군민 유치위원회를 발족하고, 원전 해체기술 연구센터 유치 건의문을 정부에 냈다. 경북도도 지난해 8월 원자력 해체와 관련한 연계산업 육성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하고, 올해 들어 두산중공업,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10여개 기관과 잇따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 사업은 장래 예상되는 국내외 원자력발전소 해체에 대비해 원전 해체에 필요한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과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시설·장비 등의 기반을 갖추기 위한 것으로, 현재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전국 지자체 공모를 통해 내년 상반기에 연구센터 입지를 결정하고,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473억원을 들여 연구센터를 세울 계획이다.
2050년까지 전세계에서 430기의 원전이 해체돼, 군사용 원자력시설과 연구로까지 포함하면 관련 시장 규모가 1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도 앞으로 70년간 14조원 규모의 원전시설 해체가 전망된다. 이에 따라 현재 부산·대구·울산·경북 등 영남지역 4개 지자체와 광주·전남·전북·강원 등 모두 8개 지자체가 연구센터 유치 의향을 나타낸 상태다.
김기현 울산시장은 “컨소시엄을 통해 원전 해체 산업과 관련한 지역 역량을 모아 연구센터 유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규석 부산 기장군수는 “350만명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운전되고 있는 고리 1호기는 2017년 수명 종료와 함께 반드시 폐로돼야 한다. 가장 먼저 폐로 절차를 밟게 될 기장군에 반드시 원전 해체기술 연구센터가 들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도 “경북에 국내 원전 23기 가운데 11기가 있고 또 9기가 추가 건설될 예정이다. 방폐장까지 있는 경북이 연구센터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신동명 김광수 김일우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