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인 울산 울주군에 웬만한 읍·면마다 종합운동장 및 축구장이 들어섰거나 들어설 예정이어서 선심행정 논란이 일고 있다.
울주군은 12개 읍·면에 국·시·군비 및 원전 지원금 등을 이용해 모두 9곳의 종합운동장 및 축구장을 짓거나 지을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인구 34만여명 규모의 남구엔 축구전용구장인 문수경기장 한 곳밖에 없고, 동구엔 공공예산으로 지은 운동장이나 축구장은 단 헌 곳도 없다.
울주군 두서·삼동면에 각각 댐이나 장묘시설을 유치하는 조건으로 짓고 있는 대곡·삼동운동장은 지역 주민수가 각각 3700여명과 1800여명에 불과한데다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있어 완공 뒤 실제 이용자가 얼마나 될지 의문이 일고 있다. 인구 6000여명의 서생면엔 지난해 신고리원전 특별지원금으로 지은 서생종합복지센터 축구장에 이어 2007년까지 원전 지원금 172억원을 들여 육상트랙 등을 갖춘 종합운동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2002년 30억원을 들여 지은 온산운동장은 이용자가 저조한데다 스탠드와 샤워시설 등편의시설이 크게 부족해 해마다 몇억원씩 들여가며 시설 보강공사를 벌이고 있으며, 언양하수종말처리장 터에 짓고 있는 축구장도 교통이 불편해 활용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기존 시설도 이용자가 없어 놀려두는 상황에서 인구 1만명이 채 되지 않는 곳에 다시 운동장과 축구장을 짓는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표심을 겨냥한 선심행정이 아니냐”고 꼬집었다.
울주군 관계자는 “혐오·기피시설을 짓는 대가로 주민들이 운동장과 축구장을 요구하고 있으며, 인구에 비해 면적이 넓은 농촌 지역 특성상 여러 곳에 시설을 분산해 주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