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시민단체, 시청서 회견 열어
“시, 환경부 권장하는 건조연료화서
비용 큰 소각방식으로 갑자기 변경
업체낙찰률도 99% 달해 담합 의혹”
“시, 환경부 권장하는 건조연료화서
비용 큰 소각방식으로 갑자기 변경
업체낙찰률도 99% 달해 담합 의혹”
전북 익산시는 2006년부터 금강동 하수종말처리장 터에 슬러지(찌꺼기) 처리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익산시는 2011년 부산물 처리가 쉽고 비용이 적게 들어 환경부가 권장하는 ‘건조연료화’ 방식으로 결정했다. 그러다가 2012년에는 운송비 부담을 내세워 종말처리장에 소각장을 설치하는 ‘소각’ 방식으로 바꿨다. 익산시는 공사를 발주하면서 업체가 설계부터 시공까지를 일괄해 맡는 턴키 방식을 선택했다. 당시 입찰에는 업체 2곳이 참여했는데 낙찰금액이 167억여원으로 낙찰률이 무려 98.7%에 달해 담합 의혹이 일었다. 하수 찌꺼기 처리시설의 하루 처리용량은 100여t으로 모두 198억원이 투입된다. 하지만 이 사업은 지난 8월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 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익산지역 주민과 전북녹색연합 회원 등 20여명은 5일 익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익산시의 하수 슬러지 소각장의 처리 방식 채택과 입찰 과정에서 의혹이 있어 수사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소각 방식으로의 변경은 건조연료화 방식을 추진한 환경부의 권장 내용 등과 정면으로 배치돼 변경 사유를 이해할 수 없다. 소각장 입찰 과정에서도 소송 중에 있어 자격을 의심받는 기업 등 2개 회사만 참여해 담합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업 방식 변경을 투명하게 설명하고 △용역보고서 평가위원들의 명단·평가내용을 공개하며 △공개경쟁 입찰 당시 한 참가 업체가 담합 의혹을 받는데도 입찰에 참여시킨 이유 등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은 “소각 방식은 건조연료화 방식과 비교해 소각장의 추가 설치와 운영·관리비 부담 등의 이유 때문에 비용이 증가한다. 하지만 건조연료화 방식은 하수 슬러지를 건조해 연료화하면 판매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 군산시의 경우 시멘트회사에 팔아 운송비 등을 빼고 t당 8800원의 이익을 낸다. 지금이라도 사업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업을 위탁받은 한국환경공단 관계자가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건조연료화 방식이 효율적인 것으로 권했으나, 익산시가 내부 방침이 소각 방식이므로 이 방식으로 추진해줄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는데도 익산시는 침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익산시 관계자는 “최근에 인사가 이뤄져 당시 상황을 잘 모른다. 이와 관련해 감사실에서 조사할 예정으로 알고 있으며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힐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