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회식장 신설 예산 분담 놓고 갈등 빚어져
2018 평창겨울올림픽 개·폐회식장 신설을 둘러싼 예산 분담 갈등이 커지면서 ‘올림픽 반납’까지 거론되고 있다.
강원도는 조직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3자 협의에서 개·폐회식장 신설 예산(662억원) 분담 비율을 국비 50%, 강원도·조직위 50%로 합의했다고 18일 밝혔다. 도는 개·폐회식장 예산의 25%(165억원)만 부담할 계획이었지만, 조직위와 협의에 따라 애초 계획의 배가 넘는 최대 166억원을 더 낼 수도 있게 됐다.
그동안 강원도는 동계올림픽특별법 수준인 75%(496억원)를 정부가 부담하라고 요구했다. 동계올림픽특별법은 ‘75% 이상’을 국비로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경기가 열리지 않는 개·폐회식장은 특별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며 국제대회 등에 지원하는 보조금 비율인 30%(198억원)만 주겠다고 각을 세웠다. 강원도와 정부의 주장에 따른 예산 차이만 298억원이다.
이번 합의로 강원도는 개·폐회식장 신설에 331억원을 조직위원회와 협의해 분담하게 됐다. 애초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제출한 유치신청서(비드파일)에는 개·폐회식장 등 대회운영 관련 시설은 평창조직위원회가 맡기로 했다. 하지만 경기침체로 민자유치가 어려워지면서 문제가 생겼다. 자금 부족에다 공사기간까지 촉박해지자 강원도는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개·폐회식장 건립과 운영까지 떠맡았다.
강원도가 개·폐회식장 예산의 절반을 떠맡게 되자 강원도의회와 올림픽 개최지인 평창군·강릉시·정선군 등 3개 시·군의장단은 ‘올림픽 반납’까지 거론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17일 강원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2018 평창겨울올림픽 대정부 지원 확대 촉구를 위한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올림픽 개·폐회식장도 당초 계획대로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에서 건설해야 한다.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올림픽 반납도 불사할 것”이라며 정부 지원 확대를 요구했다.
평창올림픽 예산을 심의하는 강원도의회는 올림픽 예산심사도 보류할 분위기다. 이기찬 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은 “국비 지원이 줄면 그만큼 강원도가 떠안는 부채가 늘어날 텐데 그 책임을 누가 질 것이냐. 최문순 강원지사가 개·폐회식장 신설 예산 분담율에 대한 해명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올림픽 예산 심사를 보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개·폐회식장 예산 문제는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뒤 기존 시설을 증축해서 사용하기로 한 당초 계획을 뒤집고 새로 짓기로 하면서 불거졌다. 애초 유치신청서에는 160억원을 들여 알펜시아 내 스키점프대 관람석(1만석)을 5만석 규모로 늘려 사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 등이 ‘장소가 비좁다’는 지적을 하면서 2012년 7월 2㎞정도 떨어진 곳에 5만석 정도의 개·폐회식만을 위한 임시시설을 짓기로 계획을 바꿨다. 이 과정에서 개·폐회식장 신설 예산이 662억원으로 애초 계획에 견줘 4배 이상 늘어났다.
강원도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 지원 30%를 고수하고 있고 시설 착공도 해야 하는 시기적인 측면도 있어 절충점을 찾는다는 차원에서 절반씩 부담하기로 합의했다. 도의회의 요구 등에 대해선 앞으로 3자 회동을 통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춘천/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