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2차산단에 최신 소각장 건설
‘1일 폐기물’ 예측 빗나가 가동못해
4년간 시설유지비만 19억여원 낭비
‘1일 폐기물’ 예측 빗나가 가동못해
4년간 시설유지비만 19억여원 낭비
355억원을 들여 건설한 대구 달성2차 산업단지 소각처리장이 6년5개월 동안 가동도 못 하는 애물단지 신세로 놓여 있다.
김원구 대구시의원(새누리당·달서)은 24일 대구시의회 정례회에서 “대구시가 2006년 4월부터 2년간 355억원을 들여 달성2차 산업단지 안에 소각처리장을 만들면서 수요 예측을 잘못하는 바람에 완공 6년5개월이 지나도록 가동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시는 달성2차 산업단지에 입주한 사업장 230여곳에서 하루 70여t의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한꺼번에 50t 이상 폐기물을 넣어야 정상 가동할 수 있는 소각장을 건설했다. 하지만 달성2차 산업단지의 실제 폐기물 배출량은 하루 5t에 머무르고 있다.
소각장이 무용지물 상태이지만, 관리비는 해마다 3억~5억원이 들어간다. 2009~2012년 4년 동안 인건비, 전기 사용료, 수선유지비, 시설물 보험료 등 시설유지비로 19억1700만원이 사용됐다. 또 고장난 부분 수리비로 4억8180만원이 들어갔다. 올해도 연말까지 3억2600여만원이 사용될 예정이다.
김 의원은 “감사원과 대구시의회가 여러 차례 지적했지만, 대구시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근 지역 폐기물을 반입해 소각 물량을 하루 70t까지 늘려 가동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이다. 하지만 대구시는 주민들과 접촉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기가 막히고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부섭 대구시 녹색환경국장은 “소각시설이 현재 가동 중지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소각시설을 가동하기 위해 먼 거리에서 폐기물을 반입할 경우, 소각장에서 반지름 300m 안에 사는 주민 200여가구에는 법에 따라 보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범위 바깥쪽 주민들에게는 보상을 할 법적 근거가 없다. 현재 이들의 반대가 심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주민들을 계속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