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 모금운동 나서기로
부산·대전·창원 등에 뒤이어
부산·대전·창원 등에 뒤이어
울산지역 시민사회·노동단체들이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 건립 추진에 나섰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통일위원회, 전교조 울산지부, 노동자 겨레하나 준비위원회 등은 25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울산 평화의 소녀상 건립운동 공동기획단’ 출범을 선언하고 “내년 95주년 3·1절을 맞아 일제의 침탈에 맨몸으로 항거한 선조들의 평화의 함성소리를 이어받아 울산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우려 한다”고 밝혔다. 공동기획단은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에 제안해 범시민모금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공동기획단은 이날 회견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을 위해 군 위안부 제도로 20여만명의 아시아 여성들을 강제 연행해 성노예로 만들고 인권을 유린하는 범죄행위를 저질렀다. 그런데도 가해자 조사·처벌은커녕 법적 배상도 회피하며, 위안부 강제동원의 역사적 사실을 삭제한 교과서 검정을 통과시키고는 ‘강제연행 증거가 없다’고 발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인권과 명예 회복을 바라며, 일본의 침략전쟁과 식민지배의 고통을 잊지 않고 기억하면서 일본의 재무장을 강력히 규탄하기 위해 120만 울산시민과 노동자들의 뜻과 힘을 모아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은 부산에서도 한 민간단체가 내년 6월을 목표로 추진하고, 대전·창원 등 다른 지역에서도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모금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