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만여가구에 공급 계획 철회
상수도사업부 “내년으로 미루기로”
장비 갖춰 삼중수소 추가 검사 예정
상수도사업부 “내년으로 미루기로”
장비 갖춰 삼중수소 추가 검사 예정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바닷물(해수)을 먹는 물(담수)로 바꿔 이달부터 부산 기장군 주민들한테 식수로 공급할 계획이었으나 방사성 물질에 대한 주민 불안감이 커지자 공급 시기를 내년으로 연기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3일 “이달 안으로 기장군 5만여가구 가운데 정관새도시와 철마면 지역을 뺀 3만여가구에 바닷물을 먹는 물로 바꾼 담수를 하루 2만5000t씩 공급하기로 했으나, 담수 공급 시기를 내년으로 미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기장군 5만여가구에 해수 담수화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일부 환경단체에서 고리원자력발전소와 가까운 기장군 앞바다에서 방사성 물질이 발견됐다고 발표해 주민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기장군까지 지난 2일 군민 안전을 우려해 담수 공급을 반대하고 나서자 상수도사업본부는 해수 담수화 수돗물 공급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
논란이 되는 방사성 물질은 세슘 134와 137, 요오드, 삼중수소 등이다. 지난달 26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산하 수질연구소의 해수 담수화 수돗물 검사 결과 세슘 134와 137, 요오드 131은 검출되지 않았다. 해수 담수화 시설에 이중으로 설치된 역삼투막이 염분, 미생물과 함께 세슘·요오드도 완벽히 제거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감기가 12.5년인 삼중수소의 검출 여부는 검사 결과에 없었다. 삼중수소는 법정 수돗물 검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아,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검사 장비를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용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삼중수소는 세슘과 요오드에 견줘 위해성이 1000분의 1 수준이다. 매일 물 2ℓ를 4만년간 먹어야 엑스레이를 한 번 촬영할 때 발생하는 수준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삼중수소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삼중수소 장비를 구입해 검사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해 국비 823억원, 시비 425억원, 두산중공업 706억원 등 1954억원을 들여 기장군 대변항 근처 봉대산 자락 바닷가 4만5845㎡에 하루 4만5000t의 먹는 물을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역삼투막식 해수 담수화 시설을 완공했다. 이 시설은 330~400m 떨어진 곳의 수심 10~15m 깊이 바닷물을 끌어들여 해조류와 염분을 걸러낸 뒤 칼슘 등 무기질 성분을 넣어 수돗물을 만든다. 고리원전은 이 시설로부터 11㎞가량 떨어져 있다. 현재 국내에선 섬 100여곳에서 바닷물을 담수로 바꿔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