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결성 “환경오염 우려” 반발
발전소에 공개검증·끝장토론 제안
발전소에 공개검증·끝장토론 제안
강원 원주기업도시와 문막읍 반계산업단지에 열병합발전소 건립이 잇따라 추진되자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 등이 반대대책위원회를 꾸리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폐기물고형연료 열병합발전소 반대 원주시민대책위원회(공동대표 현각·송덕규·송태빈)는 3일 오전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출범식을 하고 열병합발전소 반대 투쟁에 나섰다. 대책위는 열병합발전소 추진에 반대하는 문막읍과 지정면 등 지역주민들과 원주시번영회, 원주녹색연합, 원주환경운동연합, 원주와이엠시에이(YMCA) 등의 단체들이 꾸렸다.
이들은 출범식에 이어 기자회견을 열어 “원주시민은 열병합발전소 때문에 깨끗한 공기를 숨 쉴 권리를 빼앗겼다. 열병합발전소는 태웠을 때 환경호르몬과 중금속, 공해물질 등이 발생하는 쓰레기를 연료로 한다. 열병합발전소 백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또 발전소 쪽에 시민대책위와 전문가, 원주시 등이 참여하는 (가칭)열병합발전소 대기오염 검증위원회를 꾸려 ‘공개검증’을 실시할 것과 토론회를 통한 ‘끝장토론’을 벌이자고 제안했다.
원주에는 기업도시와 반계산업단지 등 2곳에 열병합발전소가 건립되고 있다. 생활쓰레기나 폐타이어 등 각종 폐기물 가운데 종이·목재·비닐 등 불에 타는 물질만 걸러내 고체 형태로 만든 폐기물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는 전국 곳곳에서 환경오염 논란이 일고 있다. 중부발전㈜이 추진하는 기업도시 열병합발전소(10㎿)는 2012년 3월부터 공사를 시작해 2015년 5월 완공 예정으로 지금 7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원주에너지㈜가 추진하는 반계산업단지 열병합발전소(32.3㎿)는 허가만 받은 상태로 2015년 2월부터 사업을 시작해 2017년 1월 완공 예정이다.
김경준 원주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원주시와 시의회는 시민의 편에서 공해시설인 열병합발전소 추진을 중단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록 원주시청 신재생에너지담당은 “원주시는 열병합발전소 사업을 허가하거나 취소할 권한이 없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를 받아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주민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상황을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