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지역 체류 의무화’ 내년 시행
연 50억 지원금, 지역 기여 위해
전세기 협약때 조건 명시하기로
연 50억 지원금, 지역 기여 위해
전세기 협약때 조건 명시하기로
강원 양양국제공항에 연간 50억원대의 지원금이 지원되지만 지역경제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한겨레> 10월22일치 12면)에 대해 강원도가 ‘지역 체류 의무화’ 카드를 빼들었다.
강원도는 양양공항을 이용하는 단체관광객이 강원도가 지정하는 필수 코스와 일부 시·군을 관광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양양공항 연계 도민 소득화 및 지역경제 기여방안’을 내년부터 시행하겠다고 9일 밝혔다. 강원도는 이를 위해 운항장려금을 지원하는 전세기와 운항협약 체결 시 이러한 조건을 명시하기로 했다. 양양공항을 이용하는 전세기 단체관광객은 △설악산과 낙산사 △아바이마을 △속초·양양 전통시장 등 필수코스를 전부 둘러본 뒤 춘천과 원주, 강릉, 동해, 삼척, 평창 등 상품별로 시·군 1~2곳을 골라 관광해야 된다.
지금까진 양양공항에 내린 상당수 관광객들이 서울이나 제주로 바로 이동했지만, 앞으론 공항에 도착한 뒤 강원도 관광을 먼저 한 뒤 서울 등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강원도 체류 기간도 의무화된다. 3박4일 상품은 강원도에서 1박2일을 머물고, 4박5일 상품은 2박3일을 머무는 식이다.
올해 양양공항 이용객은 개항 이후 최대치인 26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운항장려금 등의 명목으로 올해만 55억원이 지원되는 등 이용객이 늘면서 지원금 규모도 늘어 강원도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더욱이 양양공항을 통해 입국한 상당수 관광객이 서울과 제주에서 대부분의 소비활동을 하면서 지역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달 26일 강원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는 “지역경제 기여 방안을 마련하라”며 내년 양양공항 지원금 40억원 가운데 20억원을 삭감하기도 했다.
최준석 강원도청 공항지원담당은 “양양공항과 강원도가 어느 정도 관광 경쟁력을 갖게 된 만큼 강원도 체류가 의무화되더라도 관광객 모집에는 크게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도민 소득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공항 활성화 사업을 펴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