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책 마련과 보상 촉구
지난달 21일 경기도 포천시의 한 사무실에 지붕을 뚫고 총알이 날아드는 등 군부대 사격장 사고가 끊이지 않자, 사격장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정부 차원의 안전대책 마련과 피해 보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15일 미8군 영평 로드리게스 사격장과 국군 승진사격장 앞, 영중면사무소, 성동리, 양문리, 영평리 등 포천지역 10개 마을에 ‘밤낮 안 가리는 군 사격소음 못살겠다’ 등이라고 적힌 펼침막 30여장이 내걸렸다. 포천시 영중·창수·영북·이동면 마을 이장 등 50여명은 지난달 ‘영평·승진 사격장 대책위원회’를 꾸린 데 이어 지난 11일 대정부 투쟁 결의 성명을 냈다.
대책위는 “16만 포천시민들은 60여년 동안 조국의 안보란 이유로 군사훈련에 대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밤낮없이 비행기와 포탄이 날고, 총알이 집안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더는 좌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안전대책이 수립될 때까지 사격을 중지할 것, 오발사고 때 사격장 폐쇄, 정신적·물질적 피해 보상, 관공서·학교·주택에 방음장치 설치 등 7개항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 12일 미군 초청으로 영평사격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야간 사격 훈련과 헬기 저공비행 등으로 인해 불면증과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토머스 밴들 미2사단장은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야간 사격 훈련을 하지 않을 수 없다. 헬기 소음을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유를 지키는 소리로 생각해 달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천 지역엔 영평사격장(1350㎡)과 승진사격장(1983만㎡) 등 대규모 사격장이 있으며, 주변 500m 안에 8개 마을 주민 550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 1월 영중면에서 미군 헬기의 저공비행으로 축사와 주택 지붕이 무너져 주민 20여명이 대피하는 등 인명·재산·환경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