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19일 출범 앞두고 밝혀
민·관위원 20명 22일 떠날 예정
시민단체 “빗나간 특권의식…취소를”
민·관위원 20명 22일 떠날 예정
시민단체 “빗나간 특권의식…취소를”
지난 7월 전북 전주 시내버스 파업이 매듭지어진 이후에 꾸려진 ‘시내버스 대타협위원회’가 활동에 들어가기도 전에 외국 선진지 방문에 나선다.
전주시는 시내버스 대타협위원회 위원 33명(노동자·버스회사·시청·시민단체·전문가·회계사·노무사·언론인 등) 중에서 15명과 시의원·공무원 5명 등 20명이 22일부터 7박9일 동안 미국 뉴욕과 브라질 쿠리치바 등을 방문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들 지역이 ‘꿈의 도시, 희망 도시, 미래 도시’를 표방한 대중교통 선진지여서 방문한다. 의원·공무원은 여비로, 민간위원은 100% 보조로 경비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정의당 전북도당은 “대타협위원회가 공식적으로 출범하지도 않았고, 논의도 한번 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외연수를 추진한 것을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 국외연수가 어떤 목적으로 계획됐는지와 20명은 어떻게 선발했는지를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정의당은 “전주 시내버스의 문제는 심각한 자본잠식으로 나타난 버스회사의 부실경영과 노선개편 문제를 어떻게 푸느냐가 핵심이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는 구성원들이 모인 대타협위원회가 이러고도 제구실을 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고 덧붙였다.
전주시민회도 “미국 뉴욕과 브라질 쿠리치바가 전주시 교통 현실에 맞는 선진지인지도 의문이지만, 일단 국외여행부터 가보자는 식의 빗나간 특권의식은 시민들의 분노만 키우고 있다. 예정된 국외여행을 취소해 예산 낭비를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주시는 이에 대해 “지난 7~9월 시내버스 노조와 사장 등 각계 관계자 500여명과 40여차례 간담회를 벌였다. 이 결과로 10월에 대타협위원회를 구성했고 12월에 연수를 시행할 예정이었다. 최근 민주노총 소속 노조는 회사와 장기간 임금협상을 벌인 끝에 겨우 타결을 지었다. 그동안 임금협상에 악영향을 끼칠까봐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고 출범도 미룬 것이다. 위원회 명단을 협상 타결 뒤 공개했고, 대타협위원회도 19일 시청에서 공식으로 출범한다”고 해명했다.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이 많은 전일여객과 제일여객의 노사는 지난 17일 5.38% 인상안으로 임금협상을 타결했다. 전주 시내버스 파업이 수습된 이후인 지난 7월 전주시는 각계에서 참여하는 대타협위원회를 구성해 시내버스의 문제를 해결하고 갈등을 중재하자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