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석(54) 경북 영덕군의회 의장
군의회 의장, 반대 뜻 밝혀
의견 수렴 뒤 주민투표 가능성
의견 수렴 뒤 주민투표 가능성
지난해 10월 원자력발전소(원전) 유치에 대한 주민투표를 한 강원도 삼척에 이어 경북 영덕에서도 원전 건설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이강석(54·사진) 경북 영덕군의회 의장은 6일 영덕군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임 군수와 군의회에서 근시안적인 안목으로 지역발전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원전이라는 엄청난 화약고를 충분한 검토 없이 받아들인 데 대해 깊이 사과한다”며 원전 건설을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 의장은 “영덕에 원전을 유치하기로 동의한 지 불과 석달 만인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졌으며, 국내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 비리와 원전이 암 발생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 지역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영덕군은 2010년 12월31일 원전유치 신청서를 낸 데 이어 2011년 후보지로 결정됐으며, 이어 2012년 9월 삼척과 함께 150만㎾급 신규 원전 4기를 각각 2035년까지 건설하기로 확정했다.
보수적인 분위기인 영덕군의회에서 원전 반대 목소리가 높아진 것은 지난해 10월9일 삼척의 원전 유치 주민투표 이후다. 영덕군의회 관계자는 “삼척 주민투표 이후 영덕에서도 주민들의 생각이 바뀌면서 지방의원들이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영덕군의회는 전체 의원 7명 가운데 새누리당이 6명, 무소속 1명이다.
영덕군의회는 지난해 12월1일 전체 의원 7명이 모두 참여하는 ‘원자력특별위원회’를 꾸렸다. 오는 6월 말까지 활동하게 될 이 특위에서는 원전 건설과 관련해 영덕군민 전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어 영덕군의회는 지난 12월에 열린 2015년도 예산안심사에서 영덕군에서 제출한 원전지원금 130억원을 모두 삭감했다.
박혜령 영덕핵발전소 유치백지화 투쟁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영덕군의회 원전특위와 시민사회단체 등과 힘을 합쳐 원전반대 운동을 펼쳐나가겠다. 지역주민 전체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민투표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