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국무총리가 26일, 총리취임 이후 처음으로 대구·경북을 찾았다. 이 총리는 이날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지역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공공기관 이전이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과 연계돼 늦어지고 있다”며 “2월말께 신행정수도(도시) 특별법이 만들어지면 곧 이어 3월 중에 공공기관 이전을 확정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180개 정도의 공공기관을 지역 균형발전 원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각 지역에 배정할 것”이라며 “지역 특성과 지방 세입에 미치는 영향분석 등 종합적 판단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구경북 지역 인구가 줄고 대규모 국책사업이 배정되지 않는 등 차별 조짐이 보이는데.
=지역차별은 전혀 없다. 최근 국가사업 중 가장 큰 것이 18조가 투입돼 지난해 4월 개통된 경부고속철도 사업인데 최대 수혜도시가 대구다. 또 안동 임하탬 탁도 개선 사업에 2700억을 투입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인구감소는 부산을 비롯해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공통의 문제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행정도시 건설,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가 낙후된 동해안 개발을 위해 총리실 산하 동해안 개발기획단 설치를 건의했는데.
=경북지역 동해안만 아니라 울산·강원지역과 연계해야 하는 사업이어서 설치를 적극 검토하겠다.
-대구·경북지역 경제회생을 위한 지원 방안은.
=경제력의 50%가 수도권에 집중돼있고 나머지를 13개 시도가 나누는 상황에서 지역발전은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 대구지역에서 수도권으로 가는 교육비만 연 1조원이 넘는다고 들었다. 공공기관 이전, 혁신·기업도시 등 국가균형 발전정책이 필요하다. 대구경북의 주력사업인 섬유·전자는 사양산업이 아니다. 우리 수출의 핵심주력이 전자·정보기술 부분인데 경북이 큰 축을 맡고 있다. 앞으로 구미지역이 전자 연구개발단지로 바뀌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것이다. 대구의 섬유산업도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과로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었고 이를 활용해 신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200수 모직 섬유를 개발해 부가가치를 높여야지 100수 제품같은 옛날 경쟁력을 가지고 왜 사업이 안되느냐 하는 자세는 곤란하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