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행정절차 알아서 해결할 것”
‘공사기간 부족’ 도의 불가론 반박
조직위도 “혼란만 불러” 반대 고수
‘공사기간 부족’ 도의 불가론 반박
조직위도 “혼란만 불러” 반대 고수
평창올림픽 분산개최 여론이 강원도 안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한겨레> 1월13일치 12면) 원주시의 아이스하키 경기장 재배치 제안에 최명희 강릉시장이 ‘조건부 수용’ 뜻을 내비치자 강원도가 시간이 없다며 ‘불가론’을 폈지만, 원주시는 ‘자신있다’며 도와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결단을 촉구했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13일 원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아이스하키장을 건설할 수 있다. 강원도는 ‘도시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가 1년 이상 소요돼 공사기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했지만 변명에 불과하다. 행정절차는 원주시가 알아서 해결하겠다”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원 시장은 “현재 연약지반 보강공사를 마친 강릉시의 아이스하키 경기장 건설 상황은 연약지반 보강공사가 필요 없는 건설 후보지를 가진 원주시와 똑같다. 공사 중지 기간인 겨울철에 지질조사, 설계변경, 교통영향평가 등 모든 행정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다. 강원도가 아이스하키 경기장 원주 재배치만 결정해주면 바로 시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원 시장은 아이스하키장 건설 후보지로 태장동 옛 미군기지 캠프 롱 터 등을 제시했다. 캠프 롱 터는 34만㎡ 규모로, 원주시는 이곳에 2018년까지 국비 451억원과 시비 656억원 등 1107억원을 들여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할 참이다.
앞서 최명희 강릉시장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기술적으로 2017년 테스트 이벤트까지 경기장을 원주에 건설하는 게 가능하다면, (원주시의 재배치 요구에 대해) 논의할 의향이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가 분산개최를 허용하면서 여건이 변했다”고 아이스하키 경기장 재배치 문제에 대한 태도를 밝혔다.
이에 대해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최 시장의 발언은 적절치 않다”며 비판했다. 조직위는 13일 보도자료를 내어 “국민 혼란만 부추기는 일방적인 발언이다. 논의가 필요하다면 정부와 강원도, 조직위가 내부적으로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다. 일방적으로 강릉시의 처지만을 밝히는 것은 평창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최근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분산개최론에 선을 그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