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4 한국전자산업대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1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행사장에 마련된 삼성전자 전시관을 찾아 최첨단 메모리 반도체 등을 살펴보고 있다. 고양/연합뉴스
접근성·인프라 미흡 등 내세워
전시면적 줄어 규모 축소 불가피
도, 10년간 109억원 보조금 지급
“산업 발전에 부정적 영향” 비판
전시면적 줄어 규모 축소 불가피
도, 10년간 109억원 보조금 지급
“산업 발전에 부정적 영향” 비판
10년 동안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려온 국내 대표적 산업전시회인 ‘한국전자산업대전’이 내년부터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 행사에 100억원을 지원해온 경기도와 킨텍스는 ‘먹튀’라며 반발하고 있다.
27일 한국전자산업대전을 주관하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회장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와 킨텍스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진흥회는 킨텍스의 접근성과 숙박시설 등 인프라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내년부터 코엑스로 옮겨 전자전을 열기로 하고 최근 코엑스 쪽과 계약을 맺었다. 한국전자전이 코엑스에서 개최되면 전시 면적이 현재 5만3541㎡에서 3만6천㎡로 30%가량 줄게 돼 참가 업체와 전시 규모의 축소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한국전자전에 109억원을 지원해온 경기도와 킨텍스는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는 최근 진흥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서한문을 보내 “코엑스로의 이전 계획은 다년간 보조금 등을 지원해온 경기도로서는 매우 당혹스러운 일이다. 전자·아이티(IT) 산업은 경기도내 비중이 높은 만큼 이전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킨텍스도 버스노선 확충과 주차·숙박시설 개선, 다양한 정책 지원을 약속했지만 이전 결정을 되돌리지 못했다.
킨텍스 관계자는 “진흥회는 인프라가 미흡해 옮긴다고 하지만, 10년 전과 비교하면 호텔도 생기고 주변 환경이 많이 개선돼 설득력이 떨어진다. 진짜 이유는 지원금 축소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0년간 100억원 넘게 지원받았으면 자생력을 키워 세계적 전시회로 확대·발전해야 하는데 거꾸로 가고 있다. 전시 규모가 줄면 전자산업의 대외경쟁력과 중소기업 육성 등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2005~2011년 한국전자전에 연 8억~17억원을 지원했고, 2012년 5억원, 2013년 1억3천만원, 지난해 6천만원 등 지원금을 점차 줄여 왔다.
이에 대해 최상미 진흥회 산업진흥본부장은 “참가 업체가 경기 남부에 많아 바이어들이 업체 방문과 상담을 하는 데 불편이 많았다. 물리적 공간은 줄지만 부대시설 등을 이용해 행사와 전시를 오히려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전자전에는 800개 업체와 외국 바이어, 5만8천명의 관람객이 참가했다. 한국전자전은 서울공작기계전이나 서울모터쇼, 서울식품전 등이 킨텍스로 옮긴 뒤 3~6배 성장한 것과 달리 막대한 지원을 받고도 그동안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