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강원지사.
[인터뷰] 최문순 강원지사
2018년 2월9~25일 강원도 평창에서 23번째 겨울올림픽이 열린다. 강원도 발전의 전환점이라는 유치 당시의 기대와는 달리 심각한 재정난으로 올림픽이 강원도의 재앙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대회까지 꼭 3년이 남은 9일, 최문순 강원지사를 만났다.
개회 만 3년 남아 시간 촉박
“총예산 소치의 5분의 1
시설투입은 1조2600억…
강원도 6년간 부담액은
1년에 516억이다” -분산개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분산개최는 대안이 될 수 없나? “평창올림픽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크다. 과도한 시설 투자와 사후 경비에 대한 걱정이 주요 내용이다. 타당한 걱정이라고 생각하지만 너무 지나쳐서는 안 된다. 필요한 경기장은 13개로, 여름올림픽의 반도 안 된다. 이 가운데 신설 경기장은 단 6개에 불과하다. 사후 활용 방안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잘될 것으로 자신한다. 비용 역시 최소로 투자될 것이다. 원주의 주장대로 3월에 착공하더라도 공사에 필요한 최소 기간만 29개월에 이른다. 2017년 9월에야 준공이 가능해 2017년 3월 예정된 테스트 이벤트를 치를 수도 없다.” -신설 경기장의 사후 활용 복안은? “신설 경기장 6곳과 개폐회식장 가운데 아이스하키 제2경기장과 빙상경기장은 관동대와 강릉시가 위탁운영하기로 했다. 슬라이딩센터도 한국체육대학교와 긴밀히 협의 중이다. 스피드스케이팅장도 기업체와 다른 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개폐회식장은 서울대 평창캠퍼스와 항노화센터 등을 짓는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 구체적 방안은 올 상반기 중으로 교수와 전문가, 도의원 등이 참여하는 가칭 ‘사후 활용 자문위원회’를 꾸려 마련하겠다.” -올해 1000억원대의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올림픽 때문에 강원도가 심각한 재정위기에 몰릴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겨울올림픽 예산은 11조4311억원으로 소치(55조원)의 5분의 1 수준이다. 이 가운데 올림픽과 관련된 직접시설에 투입되는 예산은 1조2600억원이다. 나머지는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원주~강릉 간 철도나 국도 등 교통망 확충을 위한 사업비가 대부분이다. 1조2600억원 가운데 경기장 시설 비용은 6900억원 정도이며, 도비는 1300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약 10% 정도다. 경기장·진입도로까지 합쳐도 6년간 강원도 부담액은 3098억원으로 1년에 516억원이다. 지금 강원도의 재정 규모는 6조원에 이르고, 해마다 비교적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용재원은 2000억원 정도다. 한시적으로 지방채 발행이 불가피하지만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인천아시안게임은 운영 미숙으로 도마에 올랐다. 평창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평창올림픽을 가장 완벽한 대회로 치러낼 것이다. 올림픽 자체를 훌륭하게 치러내는 것은 물론이고, 경기장 사후 활용, 더 나아가 지역의 발전을 동시에 달성하는 세계 최초의 모델을 만들어낼 것이다.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그리고 선진국으로 진입한다는 선언이 돼야 한다. 동시에 2차 산업 부진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가 3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촉매가 돼야 한다. 더 나아가 국가와 민족의 통합, 단결·단합을 이루는 용광로가 돼야 한다. 평창올림픽은 대한민국에 활기와 활력을 불어넣는 축제가 돼야 한다. 그리고 축제는 강원도에서 시작돼야 한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사진 강원도 제공
“총예산 소치의 5분의 1
시설투입은 1조2600억…
강원도 6년간 부담액은
1년에 516억이다” -분산개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분산개최는 대안이 될 수 없나? “평창올림픽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크다. 과도한 시설 투자와 사후 경비에 대한 걱정이 주요 내용이다. 타당한 걱정이라고 생각하지만 너무 지나쳐서는 안 된다. 필요한 경기장은 13개로, 여름올림픽의 반도 안 된다. 이 가운데 신설 경기장은 단 6개에 불과하다. 사후 활용 방안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잘될 것으로 자신한다. 비용 역시 최소로 투자될 것이다. 원주의 주장대로 3월에 착공하더라도 공사에 필요한 최소 기간만 29개월에 이른다. 2017년 9월에야 준공이 가능해 2017년 3월 예정된 테스트 이벤트를 치를 수도 없다.” -신설 경기장의 사후 활용 복안은? “신설 경기장 6곳과 개폐회식장 가운데 아이스하키 제2경기장과 빙상경기장은 관동대와 강릉시가 위탁운영하기로 했다. 슬라이딩센터도 한국체육대학교와 긴밀히 협의 중이다. 스피드스케이팅장도 기업체와 다른 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개폐회식장은 서울대 평창캠퍼스와 항노화센터 등을 짓는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 구체적 방안은 올 상반기 중으로 교수와 전문가, 도의원 등이 참여하는 가칭 ‘사후 활용 자문위원회’를 꾸려 마련하겠다.” -올해 1000억원대의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올림픽 때문에 강원도가 심각한 재정위기에 몰릴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겨울올림픽 예산은 11조4311억원으로 소치(55조원)의 5분의 1 수준이다. 이 가운데 올림픽과 관련된 직접시설에 투입되는 예산은 1조2600억원이다. 나머지는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원주~강릉 간 철도나 국도 등 교통망 확충을 위한 사업비가 대부분이다. 1조2600억원 가운데 경기장 시설 비용은 6900억원 정도이며, 도비는 1300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약 10% 정도다. 경기장·진입도로까지 합쳐도 6년간 강원도 부담액은 3098억원으로 1년에 516억원이다. 지금 강원도의 재정 규모는 6조원에 이르고, 해마다 비교적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용재원은 2000억원 정도다. 한시적으로 지방채 발행이 불가피하지만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인천아시안게임은 운영 미숙으로 도마에 올랐다. 평창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평창올림픽을 가장 완벽한 대회로 치러낼 것이다. 올림픽 자체를 훌륭하게 치러내는 것은 물론이고, 경기장 사후 활용, 더 나아가 지역의 발전을 동시에 달성하는 세계 최초의 모델을 만들어낼 것이다. 올림픽은 대한민국이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그리고 선진국으로 진입한다는 선언이 돼야 한다. 동시에 2차 산업 부진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가 3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촉매가 돼야 한다. 더 나아가 국가와 민족의 통합, 단결·단합을 이루는 용광로가 돼야 한다. 평창올림픽은 대한민국에 활기와 활력을 불어넣는 축제가 돼야 한다. 그리고 축제는 강원도에서 시작돼야 한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사진 강원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