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례제정 청구운동본부 출범
4~6월 서명받아 주민발의 계획
4~6월 서명받아 주민발의 계획
원자력시설이 몰려 있는 대전 유성지역 주민들이 시민이 주도하는 원자력 시민감시기구를 설립하려고 조례 제정 청구 운동에 나섰다.
대전유성민간원자력환경·안전감시기구 조례제정청구운동본부(cafe.daum.net/ysnuclearsafe)는 24일 오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출범식과 총회를 열었다. 운동본부에는 대전 유성핵안전주민모임을 중심으로 대전의 25개 시민사회단체·정당 등이 참여했다.
이 단체는 출범 선언문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 등 원자력 관련 시설들이 주민 거주지역과 불과 1㎞도 안 되는 지역에 밀집돼 있어 민간 차원의 원자력 감시기구 설립에 나섰다. 주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감시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성은 지난해 초 기준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사용후핵연료 4.2톤,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3만여 드럼이 보관돼 있는 등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은 방사성 폐기물이 보관돼 있다. 연구용 원전인 하나로도 가동중이고, 핵연료 생산시설인 한전원자력연료는 1·2공장에 이어 3공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 박현주 운영위원은 “지난해 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실험실에서 화재가 났고, 2011년에는 하나로 원자로 방사능 유출 사고, 2007년에는 농축우라늄 물질 분실, 2006년 하나로 원자로 수조 작업자 피폭과 원자력연구원 조사재 시험시설 필터 화재, 2005년 방사성물질 요오드131 유출, 2004년 하나로 원자로 중수 누출 등 사고가 잇따랐다”며 “하나로 원자로와 핵연료공장에서 기체 유출물 형태로 방사성 물질이 배출돼 주변 지역에 누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원자력시설을 주민 거주지에서 안전한 곳으로 이전하고 방사성 폐기물을 경주 방폐장으로 즉각 이송해야 한다. 짧은 시간 안에 이런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면 시설 안전을 확인하고 감시하는 시민기구를 두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강영삼 조례제정청구운동본부 운영위원장은 “주민 안전을 위한 감시기구 설치 등을 대전시와 유성구에 요구했으나 원자력시설들이 국가시설이어서 지지부진해 조례 제정 청구 운동에 나섰다. 구청의 허가 과정을 거친 뒤 전국의 환경·탈핵운동단체와 연대 활동을 하면서 4~6월까지 조례 제정 청원 기준인 유성구 유권자 40분의 1 이상의 주민 서명을 받아 주민발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