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014년 감사 결과 드러나
근무일·연구활동 확인 않고 지급
도, 위법 23건 적발 23명 징계 요구
근무일·연구활동 확인 않고 지급
도, 위법 23건 적발 23명 징계 요구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발전연구원(전발연)이 비상근 위촉연구원의 근무일수를 정하지 않고 급여를 지급하는 등 방만하게 운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는 전발연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감사를 통해 불투명한 예산편성과 회계관리, 허술한 기초조사 및 엉터리 연구보고서 등 23건을 적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감사 결과를 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비상근 위촉연구원 및 초빙연구원 183명에 대한 임용계약을 체결하면서 근무일수를 정하지 않았다. 전발연은 근무일지 기록 및 출근 여부에 대한 확인 절차 없이 연구원이 실제로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정기적인 보수로 3년간 인건비 10억7813만원을 집행했다. 또 2012년 12월 복지실태 파악을 위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연극·콘서트 등 문화행사 관람 및 참여 횟수 등 분석 대상 21개 항목 중 잘못된 평균·데이터를 편중 반영해 사실과 다른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전북도민들이 1년 동안 관람한 문화행사가 8.4회로 전국(4.9회)보다 많았고, 사무종사자·고소득자보다 무직자·저소득자가 더 많이 문화행사를 관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북도 위탁과제의 중간결과물을 발주기관의 허락 없이 연구원이 개인 연구업적으로 발표했고, 연구과제 설문조사 답례품으로 구입한 문화상품권을 소속 연구원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전발연 소속 전체 직원이 34명인데도 모두 31장의 법인카드를 발행했고, 그중 일부는 사용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도는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23명(행정직 1명 포함)의 징계(중징계 10명, 경징계 8명, 주의 5명)를 전발연에 요구했고, 부당하게 쓰인 2860여만원도 회수하라고 통보했다. 김용배 도 감사관은 “전발연의 개선책을 마련하고자 전반적인 운영실태 특별감사를 벌였는데 생각보다 도덕적 해이 현상이 심한 것 같아 책임을 묻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