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유족·학계 등 뜻모아
오늘 설명회서 확정 예정
오늘 설명회서 확정 예정
그동안 소모적 논쟁을 벌여왔던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이 전주화약일로의 결정이 유력해 보인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전국동학농민혁명유족회, 천도교, 학계 전문가 등이 최근 전주화약일(음력 5월8일, 양력 6월11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전주화약은 동학농민혁명 과정 중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개입하자 농민군들이 정부에 폐정개혁안을 제시하고 협약을 체결한 뒤 철수한 것을 말한다. 전주화약에는 신분제 폐지와 3정 개혁 등이 있다.
전주화약과 함께, 남북접이 합쳐 단일대오를 이뤘던 논산대회, 반봉건에 이어 반외세 기치를 높이 내세웠던 삼례봉기 등 3개가 후보군에 올랐으나 참석자들은 전주화약으로 결정했다. 전주화약이 정부가 농민군을 인정하고 민관 합의를 이뤘고, 혁명의 목표가 폐정개혁안에 담겨 있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고 본 것이다.
이런 결정에는 기념일 제정이 더 이상 미뤄져 혁명정신을 계승하는 데 방해가 돼서는 안 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04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뒤 본격화한 동학혁명 기념일 제정은 그동안 정읍 황토현전승일과 고창 무장기포일 등으로 대립해왔다.
일부에서는 전주화약이 학문적 검증 등이 이뤄지지 않아 역사적 사실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으나, 전문가들은 “명목상의 이유일 뿐으로, 해당 지역이 원하는 날이 기념일로 선택되지 않은 데 대한 문제 제기”라고 평가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3일 오후 2시 대전에서 관련 단체들을 대상으로 국가기념일 제정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의견을 모으면 문화체육관광부·행정자치부를 거쳐 국무회의에서 최종 결정된다. 김대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은 “3일 열리는 동학농민혁명단체협의회에서 전주화약이 기념일로 결정이 되면 10년 넘게 논쟁을 벌여온 기념일에 대해서 단일안을 만들었다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날 의견을 못 모으면 앞으로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