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검증위, 4년치 검증 결과
112건중 101건, 타 보고서와 유사
112건중 101건, 타 보고서와 유사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발전연구원(전발연)이 연구원들의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전북도는 1월15일~2월13일 외부 인사 6명이 참여해 꾸린 검증위원회가 전발연 연구원들의 연구과제를 검증한 결과가 나왔다고 3일 밝혔다. 검증위는 연구원 전체 28명 가운데 24명(4명은 신규채용 등)에 대해 2011~2014년 수행한 연구과제 112건을 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했다. 검증은 카피킬러(표절검사 프로그램) 결과를 토대로 연구원들의 소명자료 등을 비교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검증 결과를 보면, 연구과제 112건 가운데 11건(9명)을 제외한 나머지가 다른 연구보고서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11건의 유사도율은 0%였다. 하지만 나머지 101건에 대한 유사도율은 5% 미만이 69건(22명)이었고, 5% 이상~10% 미만이 16건(8명), 10% 이상~15% 미만 8건(6명), 15% 이상~20% 미만은 1건(1명)이었다. 20% 이상도 7건(4명)이나 됐다. 특히 일부 연구과제는 전개 내용이 아닌 결론 부분이 유사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는 검증 결과를 지난달 26일 전발연에 통보했으며, 전발연 인사위원회에서 해당 연구원의 소명절차를 거쳐 표절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표절은 △6개 이상의 어절이 연달아 일치하는 경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이용하는 저작권 침해 △타인의 저작물을 인용하면서 인용 표시를 하지 않은 짜깁기 등이다. 이번 전북도의 검증에서는 연구원 3명의 연구과제 유사도율이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유사도율이 높더라도 출처 미표시 등 단순한 사항이 있는 반면, 유사도율이 낮은 과제 중에서 결론 부분을 표절한 사례가 있을 수 있어 비율로만 표절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양적·질적 판단이 병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