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59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가 26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실효성 있는 방사선 방재계획 수립을 위한 부산·울산·경남 시민들의 공청회인 만민공동회를 연다.
대책위는 24일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가 지난 6일 열었던 ‘핵발전소 주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재설정’ 공청회는 미흡했다. 원자력발전에 찬성하거나 원자력산업에 관련된 패널들이 나왔고, 공청회가 열리는 것도 사흘 전에야 알 정도로 사전 홍보가 부족했다. 만민공동회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부산시·원자력안전기술원·원자력안전위원회·고리원자력본부 등이 만민공동회 참석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것에 대해, 대책위는 “이는 시민과의 소통을 거부한 것이다. 비상계획구역 설정은 시민 안전 문제와 직결돼 있어,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자세하고 빈틈없이 재설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핵방사선이 외부로 노출됐을 때 주민을 긴급 대피시키고 구호물품을 지급해야 하는 지역이다. 국회는 지난 5월 관련법 개정을 통해 원전으로부터 직선거리 8~10㎞이던 비상계획구역을 20~30㎞로 넓혔다. 시민사회단체 등은 비상계획구역을 30㎞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부산시는 대피 장소 마련의 어려움, 방호복 등 구입비용 부담 등으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