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재정사업서 민자유치로 전환
5월 준공 앞두고 통행료 부과 예정
시민들 “염포산터널 무료화” 요구
5월 준공 앞두고 통행료 부과 예정
시민들 “염포산터널 무료화” 요구
울산 남구와 동구 사이의 바다를 잇는 울산대교 준공을 앞두고 통행료 문제로 울산시와 시민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 울산대교는 접속도로인 동구 염포산터널과 함께 민간투자사업으로 시공돼, 울산시는 사업시행업체와의 협약에 따라 통행료를 부과하려 하나 주민들은 염포산터널이라도 통행료를 무료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 동구시민연대 등 울산 동구지역 17개 시민·사회·노동단체와 정당은 25일 현대중공업 정문에서 ‘염포산터널 통행료 무료화 동구지역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염포산터널 통행료 무료화와 울산대교 통행료 대폭 인하를 촉구했다.
대책위는 회견에서 “울산대교와 염포산터널은 울산시 끝자락에 위치해 진출입로가 제한돼 있는 동구주민들의 염원에 따라 애초 울산시 재정사업으로 추진되다 민자유치사업으로 바뀌었다. 울산시와 사업시행자의 협약 체결 당시 동구주민 5만3200여명의 서명으로 염포산터널만큼은 무료화해야 한다는 뜻을 울산시에 전달했지만, 울산시는 주민 요구를 외면한 채 물가상승을 핑계로 협약상의 통행료보다 비싼 요금을 퍼부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울산 남구 매암동과 동구 일산동 사이 8.38㎞ 구간의 울산대교 및 접속도로는 국·시비 1703억원과 민간자본 3695억원 등 5398억원을 들여 2010년 5월 착공해 오는 5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울산시는 2009년 사업시행자인 울산하버브릿지㈜와 협약 체결 때 통행료를 소형차 기준 울산대교 1000원, 염포산터널 600원, 대교와 터널 전 구간 1500원으로 결정했으나, 실제 통행료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30% 이상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민자사업으로 개통되는 도로이기 때문에 사용자 부담 원칙에 따라 염포산터널도 통행료 부과는 불가피하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통행료 결정을 위해 사업시행자가 요금을 산정해 자료를 제출하면 자문위원회, 한국교통정책경제학회,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검증 및 검토를 거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