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곡관설동 봉대초 터에 계획
도 “기존 청원학교 과밀…신설 시급”
주민들 “전혀 의견수렴 안해”
도 “기존 청원학교 과밀…신설 시급”
주민들 “전혀 의견수렴 안해”
강원도교육청이 장애 학생들을 위한 공립 특수학교를 추가로 짓기로 한 가운데, 해당 지역 주민들이 ‘지역 발전 차질’ 등의 이유로 반대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강원도교육청은 원주 혁신도시 인근 옛 봉대초등학교 터에 원주특수학교(가칭)를 28학급 203명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2018년 3월 개교 예정인 이 학교는 과밀 학급으로 운영되고 있는 원주 청원학교 학생 일부를 받아들이고 인근 횡성·영월 등 농촌지역 장애학생도 수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김원경 원주시 반곡관설동 1통장은 “원주 특수학교 예정 터인 봉대초교는 주민들이 땅을 기부해 만들어진 학교다. 그런데도 주민 의견은 전혀 수렴하지 않았다. 특수학교가 들어서면 재산가치 하락 등 지역 발전에 차질이 우려된다. 특수학교 설립을 강행하면 반대 서명운동과 교육청 항의방문 등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강원도교육청은 장애학생들의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특수학교 신설이 꼭 필요하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김경애 강원도교육청 행정과장은 “특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개선되고 특수교육이 의무교육으로 바뀌면서 부쩍 대상자가 늘고 있다. 특히 원주지역은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년에 걸쳐 특수학교 신설 요구가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원주지역 장애학생은 700여명에 이른다. 하지만 지역에서 유일한 특수학교인 청원학교는 정원이 260여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더욱이 1985년 4개 학급으로 문을 연 청원학교는 30여년이 흐르면서 44학급으로 커졌다. 학생이 늘면서 부족한 교실을 만들기 위해 미술실과 과학실, 음악실, 실습실을 없애는 등 열악한 교육여건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허나영 전 청원학교 학부모회장은 “특수학교가 한 곳밖에 없다 보니 장애학생들이 1시간30분 정도 학교버스를 이용해 등·하교를 하고 있다. 청원학교도 과밀 학급이 되면서 아이들 교육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특수학교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