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면 590여명 반대서명 정부제출
주민투표 요구…춘천시 “허가 끝나”
문막 대책위는 경찰과 몸싸움도
원주시 “친환경 연료 사용 지킬 것”
주민투표 요구…춘천시 “허가 끝나”
문막 대책위는 경찰과 몸싸움도
원주시 “친환경 연료 사용 지킬 것”
강원 춘천과 원주의 열병합발전소 갈등이 커지고 있다.
춘천 동산면 열병합발전소 건설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이용우)는 지역 주민 590여명이 반대 뜻을 밝힌 서명부와 탄원서를 춘천시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보낼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이들은 춘천시에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사 현장에서 무기한 시위를 벌일 참이다.
이용우 위원장은 “생활쓰레기 매립장과 공원묘지, 화장장까지 모든 기피시설이 동산면에 들어섰다. 열병합발전소까지 받아들일 순 없다. 주민 절반 이상이 반대 뜻을 밝힌 만큼 건설 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스코건설은 6888억원을 들여 동산면 동춘천산업단지에 열병합발전소(400㎿)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액화천연가스(LNG)로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해 전기는 한전에 팔고 열은 지역에 난방에너지로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건설은 2012년 도심 등산로인 안마산 일대에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다 주민 반대로 포기한 바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이미 모든 인허가가 끝나고 사업도 상당 부분 진척돼 주민 찬반투표 등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원주도 열병합발전소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다. 문막 반계산업단지 고형연료(SRF)열병합발전소 반대대책위원회는 지난 30일 원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시장 면담을 요구하며 시청 진입을 시도하다 경찰과 몸싸움을 벌였다. 문막 반대대책위는 “처음엔 청정 친환경 연료를 사용한다고 하더니 지금은 폐타이어·폐목재 등 고형연료로 바뀌었다. 주민 건강권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막겠다”고 벼르고 있다. 2017년 1월 완공 예정인 문막 열병합발전소(32.3㎿)는 산업단지와 주변에 조성될 화훼특화관광단지에 열을 공급할 예정이다.
원주시청 관계자는 “열병합발전소 연료는 정부 인증 업체가 생산하는 친환경 고형연료 제품만 사용하도록 하겠다. 문제가 생기면 가동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