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사무관급(5급) 이상 간부직원 192명을 상대로 부패위험도를 평가한다.
경북도는 1일 “부패예방과 청렴도 향상을 위해 간부직원들을 대상으로 4월과 5월, 두달동안 부패위험성 평가를 한다”고 밝혔다. 이 평가는 경북도에 근무하는 3급(부이사관) 이상 18명, 4급(서기관) 104명, 5급 39명에다 경북도가 출자 또는 출연한 공기업 26곳의 기관장 등 1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경북도는 조직환경, 업무환경에 대한 부패위험도 평가와 함께 개인의 직위에 대한 부패위험성을 복합적으로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평가항목에 위법, 부당한 업무지시, 직위를 이용한 알선, 청탁, 직무관련 정보의 사적이용 여부 등이 포함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금 체납, 도로교통법규 위반, 재산불성실 신고 여부 등이 감점요인으로 반영된다.
경북도는 부패위험도 평가는 객관적인 조사를 위해 먼저 근무중인 부서의 상급자와 동료, 하위직원 등을 평가단으로 구성해 1차 평가를 한 뒤 외부전문기관에 넘겨 설문조사 등을 통해 2차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5월말까지 평가를 끝내고 6월중으로 부패위험성을 점수화해서 인사관련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당사자한테도 통보하기로 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간부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해 부정과 부패를 척결해 신뢰받는 조직으로 만든다는 게 취지”라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패청렴도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경북도 안팎에서는 “지난해 부패청렴도 조사를 해봤지만 과연 청렴도가 높아졌다는 징후는 없다. 아직 효과가 검증되지는 않았다”는 불만이 나온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