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들에게 특정 납골당 등을 이용하도록 하고 그 대가로 봉안시설업체로부터 뒷돈을 받아 챙기던 종합병원 장례식장 직원들이 경찰에 적발됐다.
대구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봉안시설업체들 쪽으로부터 상습적으로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김아무개(47)씨 등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장례식장 직원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22일 밝혔다. 또 이들에게 리베이트를 건넨 혐의(배임증재)로 김아무개(41)씨 등 7개 봉안시설업체의 사장과 직원 8명도 불구속 입건했다.
장례식장 직원 김씨 등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이들 봉안시설업체 쪽으로부터 49차례에 걸쳐 모두 295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장지가 정해지지 않은 유가족들에게 특정 공원묘지나 납골당을 이용하도록 유도한 뒤, 전체 금액의 10~40%를 리베이트로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또 다른 종합병원 장례식장의 공개입찰에 참여해 입찰가격을 담합한 혐의(입찰방해)로 김아무개(50)씨 등 제단용 꽃 납품업자 4명도 함께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서로 짜고 자신들 중 한 업체가 제단용 꽃 납품을 낙찰받을 수 있도록 입찰가격을 담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번 경찰 수사에서는 제단용 꽃 납품업자가 유가족이 장례식장에 두고간 수거해 다시 되파는 관행이 실제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직폭력배 출신인 한 제단용 꽃 납품업자는 다른 납품업자로부터 ‘화환 수거권’을 빼앗아 4200만원 상당의 이득을 챙긴 혐의(공갈)도 받고 있다. 대개 상주와 제단 꽃 납품업자는 화환을 폐기하도록 계약하지만, 실제로는 납품업자들끼리 서로 정해둔 수거권자가 있었다고 경찰은 밝혔다.
최준영 대구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장은 “장례식장 직원과 업체가 서로 짜고 리베이트를 받으면 그만큼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유가족들의 경제적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장례문화를 훼손해 신뢰를 무너뜨리고 서민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전가하는 장례 관련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 지속적인 단속을 이어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대구/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