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못갖춘 ‘매일신문’ 출신 등 2명
대구여성가족재단서 여전히 근무
시, 감사서 적발하고도 이유 안밝혀
“채용담당자들 그만둬” 미흡 해명
대구여성가족재단서 여전히 근무
시, 감사서 적발하고도 이유 안밝혀
“채용담당자들 그만둬” 미흡 해명
대구시 출연기관인 대구여성가족재단이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매일신문> 기자 등 지원자 2명을 팀장급 연구원으로 채용한 사실이 대구시 감사에 적발됐다. 하지만 대구시는 이 사실을 적발하고도, 부정채용 이유와 과정을 밝히지 않아 의혹을 부풀리고 있다.
27일 <한겨레>가 입수한 대구시 감사관실의 ‘대구여성가족재단 2015년도 종합감사 결과’를 보면, 2013년 6월17일 대구여성가족재단은 팀장급 연구원 2명을 공개 채용했다. 당시 자격요건은 내부 인사규정에 따라 2년 이상 연구경력이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3년 이상 연구경력이 있는 석사학위 소지자였다. 전공도 여성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등 여성가족정책 관련 분야 학위로 제한됐다.
하지만 실제 채용됐던 연구원 2명은 모두 이 자격요건에 맞지 않았다. ㅊ씨는 대구지역 일간지인 <매일신문> 기자로, 사회학 석사학위에 연구경력도 2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최종 합격했다. 또다른 합격자 ㅂ씨는 경찰학 석·박사 학위를 갖고 있어 애초부터 전공이 지원자격에 맞지 않았다. 당시 채용에는 모두 5명이 지원했는데, 자격요건을 갖춘 지원자가 오히려 탈락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시는 감사를 통해 이 사실을 적발했지만 대구여성가족재단에 기관주의 조처만 내렸다. 채용 과정에서의 단순한 실수로 보기 어려웠지만, 대구시는 누구의 주도로 내부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부정채용을 했는지 밝혀내지 않았다. 당시 채용심사에서 외부인사 3명과 내부인사 1명이 위원으로 참여했지만, 대구시는 이들이 누군지도 밝히지 않고 있다. 당시 부정채용됐던 ㅊ씨와 ㅂ씨는 지금도 대구여성가족재단에서 근무하고 있다.
대구시 감사관실 관계자는 “그 당시 채용업무를 담당했던 직원들이 모두 대구여성가족재단을 그만둔 상태였기 때문에 자세한 것까지 밝혀내지 못했다. 당시 심사위원 명단은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2012년 6월 2억7000만원을 출연해 여성·가족 정책을 연구·개발하는 재단법인 대구여성가족재단을 설립했으며, 올해 5억7000만원 등 해마다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한다. 이사장은 대구시 행정부시장이 맡고 있다. 대구여성가족재단 감사는 올해 2월2일부터 일주일 동안 이뤄졌으며, 대구시 감사관실은 내부 검토와 의결을 거쳐 감사결과를 최종 확정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